韓 GDP 대비 가계·기업부채 임계치 돌파

韓 GDP 대비 가계·기업부채 임계치 돌파

  • 일반경제
  • 승인 2018.04.16 15:53
  • 댓글 0
기자명 박종헌 기자 jhpark@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경제硏 “대외리스크에 대한 경제구조 구축해야”

  미국에 이어 전 세계적으로 금융·통화정책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글로벌 유동성 축소 및 신흥국 발 신용위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특히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 GDP 대비 가계·기업부채는 임계치를 뛰어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한 사전적 정책 대응 노력뿐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대외리스크에 대한 경제구조를 구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5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글로벌 유동성 흐름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2009년 이후 아시아 신흥국의 역외신용 증가율은 크게 확대되면서 유동성 축소 시기 급격한 자금 유출입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하지만 아시아 신흥국의 역외신용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8.6%로 라틴아메리카(4.6%), 미국(0.5%) 등 타 지역 증가율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신흥국 민간신용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크게 증가, 글로벌 유동성 축소가 본격화될 경우 세계경제의 리스크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보고서의 지적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발생 직후인 2009년 신흥국의 GDP 대비 민간신용 비중은 99.1% 수준이었으나 2017년 143.2%로 44.1% 확대됐다는 것이다.

  신흥국 기업부채는 과다 기업부채 임계치를 크게 상회하고 있을 뿐 아니라,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증감 폭도 확대되고 있다. 신흥국 기업부채 수준은 2008년 GDP 대비 비중이 56.2%에서 2017년 104.3%로 48.1% 확대되며 World Economic Forum에서 제시한 과다 기업 부채 임계치 80%를 크게 상회하고 있다.

  43개국의 기업부채 분석결과, 한국은 고위험국가로 분류되지 않았다. 하지만 한국의 GDP 대비 기업부채 수준은 세계 평균은 물론 과다 기업부채 임계치를 상회하는 99.4% 수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9년 이후 주식시장은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금유입이 확대됐으며, 경제 충격 시 비거주자 중심의 투자유출이 확대되고 있다. 선진국의 주식투자는 2008년 2,320억 달러 순유출에서 2016년 2,300억 달러 순유입으로 자금유입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과 신흥국의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는 2009년 3월 각각 766.4p, 535.1p에서 2018년 3월 2,101.8p, 1,195.1p로 선진국 중심의 주식시장 성장세가 크게 확대되는 흐름이다.

  보고서는 “미국에 이어 전 세계적으로 금융·통화정책 정상화가 이뤄질 경우 글로벌 유동성 축소 및 신흥국 발 신용위기 발생 가능성이 커 이에 대한 사전적 대응이 필요하다”며 “글로벌 자금 흐름의 특징을 모니터링하면서 금융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에 대비한 대응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가계·기업 부채를 적정 수준으로 관리하며 신용리스크 확대가 경기 위축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며 “중장기적으로 내수와 외수 균형 성장을 통해 대외리스크에 강한 경제구조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