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회장 중도 하차, 마지막 되길

포스코 회장 중도 하차, 마지막 되길

  • 철강
  • 승인 2018.04.23 06:00
  • 댓글 0
기자명 김도연 기자 kimdy@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주 철강업계 최대 이슈는 포스코 권오준 회장의 사임이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계속돼온 포스코 회장의 교체가 결국 문재인에 정부 들어서도 변하지 않았다는 허탈감과 안타까움이 컸다.
이번 정부의 출범과 함께 포스코 권오준 회장의 교체설은 어김없이 불거졌다. 그러나 끊이지 않고 계속돼온 포스코 회장 교체 외압설에도 불구하고 권 회장은 그동안 주력해온 강력한 구조조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서 철강 본원의 경쟁력을 회복시켰고 지난해에는 사상 최대 경영실적도 거뒀다.

성공적인 재무구조 개선 등의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지난해 3월 주주총회에서 재 선임됐고 지난달 31일 포스코 창립 50주년 기자간담회에서도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등 활발한 경영활동을 펼쳐왔다.
이 때문에 그동안 계속돼온 ‘적폐’도 청산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컸다. 포스코에 있어서도 앞으로 2~3년이 매우 중요한 시기라는 점, 여기에 외압설도 잦아들고 있었던 점에서 갑작스런 권 회장의 사의 표명은 뜻밖일 수밖에 없었다. 

외부 압력 없이는 사퇴할 이유가 없다는 점에서 그동안 지속돼온 적폐가 재연됐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는 이유다.
권 회장이 직접 밝힌 사임 이유를 그대로 받아들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포스코는 민영화 이후 줄곧 정권 교체시 마다 수장이 바뀌어 왔다.
국영기업으로 출범한 포스코는 지난 2000년 9월 정부가 보유한 지분 전량을 매각하면서 민영화됐다.
민영화 이전 포스코는 고(故) 박태준 초대회장(1992년 10월 퇴임), 정명식 회장(1993년 3월), 김만제 회장(1998년 3월)을 거쳤다. 민영화 시기에는 유상부 회장(2003년 3월), 이후 이구택 회장(2009년 1월), 정준양 회장(2013년 11월), 권오준 회장까지 포스코는 지난 50년간 8명이 회장직을 역임했다.

특히 민영화 이후에도 이러한 상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서 비판도 계속돼왔다. 이구택 전 회장은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지 1년 만에 정치권 외압 논란으로 자리에서 물러났고 정준양 회장도 박근혜 정부가 들어선 이후 사임했다.

포스코는 외국인 지분율이 57%에 이르는 민간 기업이다. 최고경영자에 대한 평가는 경영실적과 향후 비전 등을 바탕으로 주주들이 판단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정권이 바뀔 때 마다 수장이 교체되면서 아직도 ‘민영화된 공기업’이란 인식이 팽배하다.

현재 포스코가 이끌고 있는 국내 철강산업은 공급과잉에 따른 글로벌 경쟁 심화와 미국 및 주요 국들 무역규제 강화 등의 통상 문제로 위기 상황을 맞고 있다. 이 때문에 포스코를 중심으로 철강업계가 힘을 합해 위기 극복에 주력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이런 상황에서 리더격인 포스코 회장의 사임은 철강산업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 때문에 업계에서는 현재의 상황은 안타깝지만 더 이상 ‘외압(?)에 의한 CEO의 교체’와 이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차단해야 하며 전문성과 연속성을 갖춘 후임 CEO의 조속한 선임을 통해 포스코는 물론 산업과 업계의 안정·발전을 모색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