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철강재 수입오퍼價 일시적 약세 돌입
8월 단기 급락...9월 이후 상승세 점쳐
유럽 휴가, 중동 라마단, 일본 오봉 야스미로
8월 들어 수입 철강재 오퍼가격이 일시적으로 약세 상황을 보이고 있다.
미국산 철스크랩(HMS No.1기준) 수입가격은 7월적이 한 때 톤당 734달러를 호가(呼價)하다 최근에는 9월적이 톤당 685달러 오퍼가격이 크게 떨어지고 있다.
러시아산 슬래브(Slab) 수입오퍼가격은 운임포함가격(CFR기준)으로 톤당 1,120~1,180달러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9월적 유통절판용 중국산 열연강판(HR)의 오퍼가격은 CFR기준으로 톤당 30~50달러 떨어진 1,010~1,030달러 수준에서 오퍼 되고 있다. 유통용 중국산 후판의 수입 오퍼가격은 CFR기준 톤당 20~30달러 떨어진 1,160달러 수준에서 오퍼 되고 있다. 선재는 톤당 1,020~1,040달러 수준이다.
MBR 등 일부 철강전문 분석기관들의 전망에 따르면, WSD가 하반기 철강재 가격급락을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올해 들어 철광석(84%)과 원료탄(214%)의 가격급등을 전제로 전강후약(前强後弱)의 패턴에서 벗어나서 가격하락 시점은 1년 정도 더 늦춰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실무에 있는 일부 철강업체 관계자에 따르면, 3분기 단기적으로는 하락 조정을 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하고 있다.
계절적인 비수기와 맞물려 일시적인 가격하락도 점쳐지고 있다.
그 변수로 8월 한 달 동안 유럽연합(EU) 지역의 하기휴가(夏期休暇) 돌입, 9월2일부터 중동지역의 라마단 종교행사에 따른 터키지역 등의 미국으로부터 고철 구매량 감소, 8월13~15일로 이어지는 일본의 오봉 야스미, 국내도 마찬가지로 8월 들어 본격적인 하기휴가 돌입에 따른 유통상가의 썰렁한 상황 등에 따라 일시적인 철강재 가격하락 조정이 불가피 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내수 철강시장은 7월말 이후 폭염과 하기휴가에 따른 공장의 가동일수 조정으로 일시적으로 주춤거리고 있다. 문래동과 시흥철재상가 등 유통상가의 철강재판매가격은 일시적으로 소폭의 하락 조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내수시장 경기는 조선과 일반기계를 제외한 가전, 건설, 자동차 등 대부분 철강 전방 수요산업의 침체 분위기 때문에 소재가격 인상분을 제품판매에 반영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의견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