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회복세 요원한가?
7월 건설수주 전년比 13.0% 감소…건축 부진 뚜렷
기성액은 토목, 민간 고른 증가로 10.4% ↑
지난 7월의 국내 건설수주는 토목수주가 기저효과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0.9% 감소했으며, 건축수주의 경우 주택 및 비주택 수주가 각각 12.6%, 15.2% 감소하는 등 모두 부진한 양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전체적으로 국내 건설수주는 전년대비 13.0% 감소한 6조6,856억원을 기록했다.
공공부문은 건축수주가 전년대비 23.3% 증가했으나, 토목수주가 기저효과로 부진해 전체적으로 2.2% 감소한 2조1,523억원을 기록했다. 공공 토목수주는 지난해 수주액이 높았던 데 따른 기저효과로 전년대비 15.3% 감소한 1조2,277억원을 기록했으며, 공공 건축수주는 비주거용 건축수주가 7.9% 감소했으나 주거용 건축 수주가 호조를 보여 전년대비 23.3% 증가한 9,246억원을 기록했다.
민간부문은 토목 수주가 민자사업의 부진으로 전년대비 5.7% 감소한 가운데, 건축수주 또한 주택경기 침체로 크게 부진해 17.3% 감소한 4조5,333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토목수주는 지난 2007년 7월 수주물량이 많은데 따른 기저효과와 올해 민자사업의 부진으로 5.7% 감소했으며, 수주액 자체는 평년 수준인 1조1,411억원을 기록했다. 민간 건축수주는 4월 이후 호조를 기록한 비주거용 건축 수주가 감소세로 전환한 것과 함께 주거용 건축 수주액이 최근 3년 동안 가장 낮은 1조4,346억원으로 부진해 전년대비 20.6% 감소한 3조3,922억원을 기록했다.
1∼7월 건설수주 누계실적은 비주거용 건축수주가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했으나, 주거용 건축수주가 8.2% 감소하고 토목수주 또한 상반기 공공물량의 발주지연으로 8.1% 감소하여, 전체적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한 61조8,086억원을 기록했다. 토목수주 누계액은 상반기 공공 물량 발주 지연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감소한 17조2,976억원, 건축수주 누계액은 비주거용 수주 실적이 전년 동기 대비 11.9% 증가했지만 주거용 수주 실적이 부진해서 전년 동기 대비 0.6% 감소한 44조5,109억원을 기록했다.
이와 함께 건설경기 동행지표인 건설기성은 공공과 민간부문의 기성실적이 각각 전년대비 4.4%, 10.1% 증가하여 전체적으로 10.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발주자별로는 7월 공공부문 기성실적이 전년대비 4.4% 증가하여 지난 3월부터의 시작된 증가세를 이어갔으며, 민간부문도 10.1% 로 크게 증가했다. 공종별로는 건축부문이 전년대비 11.8% 증가했으며 토목부문(플랜트 포함)도 7.9% 증가했다.
또 다른 건설동행지표인 건설투자의 경우, 최근 발표된 한국은행의 2008년 2분기 국민계정 잠정치에 의하면 지난 1분기의 감소세(전년 동기 대비 1.1% 감소)를 이어 2분기 건설투자도 부진(1.2% 감소)하여 상반기 건설투자가 전년 동기 대비 1.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목투자의 증가율은 2007년 공공공사 조기발주와 함께 2008년 정권교체로 인한 발주 지연으로 2007년 3분기부터 4분기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주거용 건설투자의 경우 2007년 2분기부터 5분기 연속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주거용 건설투자의 부진으로 건물 건설투자가 지난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전년 동기 대비 0.3%, 1.8%씩 감소했다.
<2008년 7월 건설수주 현황> (단위 : 십억원, %)
구분 |
2007. 07 |
2008. 06 |
2008. 07 |
전월비 |
전년비 |
2007년 누계 |
2008년 누계 |
전년비 | |
수주총액 |
7,684 |
10,746 |
6,686 |
-37.8 |
-13.0 |
63,581 |
61,809 |
-2.8 | |
발주처별 |
공공 |
2,200 |
2,628 |
2,152 |
-18.1 |
-2.2 |
16,490 |
19,596 |
18.8 |
|
토목 |
1,450 |
1,391 |
1,228 |
-11.7 |
-15.3 |
11,286 |
10,589 |
-6.2 |
건축 |
750 |
1,237 |
925 |
-25.2 |
23.3 |
5,204 |
9,007 |
73.1 | |
민간 |
5,484 |
8,119 |
4,533 |
-44.2 |
-17.3 |
47,092 |
42,213 |
-10.4 | |
|
토목 |
1,210 |
1,798 |
1,141 |
-36.5 |
-5.7 |
7,528 |
6,709 |
-10.9 |
건축 |
4,275 |
6,320 |
3,392 |
-46.3 |
-20.6 |
39,564 |
35,504 |
-10.3 | |
공종별 |
토목 |
2,660 |
3,189 |
2,369 |
-25.7 |
-10.9 |
18,813 |
17,298 |
-8.1 |
건축 |
5,025 |
7,557 |
4,317 |
-42.9 |
-14.1 |
44,768 |
44,511 |
-0.6 | |
|
주택 |
2,208 |
3,894 |
1,930 |
-50.4 |
-12.6 |
27,814 |
25,539 |
-8.2 |
비주택 |
2,816 |
3,663 |
2,387 |
-34.8 |
-15.2 |
16,954 |
18,972 |
11.9 |
자료 : 대한건설협회.
<건설경기 동행지표 추이> (단위 : 전년동기비 증감률, %)
구분 |
07. 01 |
07. 02 |
07. 03 |
07. 04 |
07. 05 |
07. 06 |
07. 07 |
07. 08 |
07. 09 |
07. 10 |
07. 11 |
07. 12 |
08. 01 |
08. 02 |
08. 03 |
08. 04 |
08. 05 |
08. 06 |
08. 07 |
건설기성 (경상금액 기준) |
10.5 |
8.3 |
2.0 |
6.1 |
5.4 |
4.2 |
12.3 |
7.5 |
-7.3 |
7.9 |
4.6 |
7.9 |
10.8 |
3.3 |
3.8 |
4.3 |
7.7 |
7.4 |
10.4 |
건설투자 (불변금액 기준, 원계열) |
3.7 (1분기) |
1.6 (2분기) |
-0.1 (3분기) |
0.4 (4분기) |
-1.1 (1분기) |
-1.2 (2분기) |
- |
자료: 통계청(2008. 6월 7월 건설기성은 잠정치), 한국은행(2008년 1/4분기, 2/4분기 잠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