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웃고 형강 울고
4월 봉형강 유통, 품목별 시황 대조
봉형강 유통시장에서 품목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철근과 형강 유통 시장이 상반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 철근의 경우 4월부터 시작된 판매 증가가 5월까지 이어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반면 형강 유통시장은 4월 초 반짝 회복 이후 수요 부진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철근 유통업계에 따르면 4월 들어 유통시장에서 수요가 늘며 철근 판매가 원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유통업체들의 재고도 눈에 띄게 줄어든 상태. 철근 수입업계 역시 판매가 늘며 재고가 감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유통 가격도 수입 제품을 중심으로 톤당 1~2만원 상승했다.
서울의 한 철근 유통업계 관계자는 “5월까지는 당분간 판매가 호조를 보일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미 5월 중순까지 선판매가 완료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에 비해 형강 유통시장은 침체가 계속되고 있다. 당초 4월 초 판매가 늘면서 시황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던 형강 시장은 수요가 감퇴하며 다시 약세를 보이고 있다. 수요 침체가 계속되면서 형강 유통시장에서는 가격 하락에 대한 기대감이 만연해 있는 상태.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 제조업체들이 “가격 인하는 없다”며 진화에 나서고 있으나 별다른 효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오히려 수입 형강을 중심으로 톤당 1~2만원씩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형강 유통업계에서는 시장이 이처럼 약세를 보이는 것이 상가용 건물이나 공장 등 강구조물 건축 수요가 부진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유통 시장에서 형강 가격이 바닥에 도달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는 있으나 시장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분위기다. 계절적 비수기인 6월이 다가오고 있어 5월에 시황이 회복 기미를 보이더라도 상승 분위기를 이어질 가능성이 낮기 때문.
이와 관련해 수도권의 형강 유통업체 관계자는 “4월은 지난 3월보다 체감 경기가 더 안 좋았다”면서 “수요가들이 움직이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말했다.
심홍수기자/shs@snm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