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백색가전 규제대상물질 늘려...국내업체 ‘비상’

2009-11-30     안선용

가소제 등 7종 추가, 전체 전기·전자제품 확대 적용
내년 4월 최종 결정...확정 시 유럽수출시장에 타격  

  유럽연합의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규제 대상품목이 전체 전자제품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여 TV, 냉장고, 세탁기 등을 생산하는 국내 백색가전업체의 유럽수출시장에 비상이 걸렸다.

  무역환경규제네트워크(TEN) 등 관계기관에 따르면 이달 30일 EU의회 질 에반스 의원이 제안한 ‘전기·전자제품 유해물질 사용제한 지침(RoHS)' 개정안에는 규제대상 물질의 수를 현 6종에서 13종으로 늘리고, 규제대상 품목의 수를 전체 전기·전자제품으로 확대하는 내용의 입법안이 실렸다.

  이번에 새로 추가되는 규제대상 물질은 브롬계 난연제(BFRs), 염소계 난연제(CFRs), 폴리염화비닐(PVC), 염소계 가소제, DEHP, BBP, DBP로 7종. 이 중 DEHP, BBP 등 가소제는 플라스틱이 쉽게 휘어지도록 하는 화학물질로 백색가전에 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내년 4월 투표를 통해 이번 개정안 확정이 결정될 것이다”며 “확정 시 관련 규제에 미리 대응해 온 정보기술(IT) 업종보다 규제 대응 속도가 느렸던 백색가전 업종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할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안선용기자/syahn@snm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