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내수시장 더 확대될 전망
거시정책 유지하고 구조조정은 가속화
철강, 조선 등 과잉산업의 생산량 규제
국내기업, 중국 내수시장 적극적으로 공략
2010-03-08 이주현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원장 이경태)은 ‘2010년 중국 전인대 주요내용과 우리기업의 대응 전략’보고서에서 중국 전국인민대표회의(全人代)에서 발표된 정부업무보고를 토대로 올해 중국 경제정책 방향을 전망했다.
협회는 중국의 기조로 안정적 거시정책 유지, 적극적인 내수확대, 구조조정 가속화로 진단하고 우리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이 완만한 통화정책과 적극적 재정정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내수확대를 적극적으로 추진한다고 예상한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기업들은 더욱 확대되는 중국 내수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해야 함을 강조했다. 보고서는 중국정부가 1조500억 위안의 적자예산을 편성하는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과 완만한 통화정책을 유지할 것이라고 천명하면서 아직은 금리인상을 포함한 본격적인 출구전략을 실시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 한 것은 안정적 거시정책을 통해 내수확대와 구조조정을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라고 보았다.
즉, 중국정부가 경제성장을 지속하기 위해 금년 말까지 계획된 내수부양책을 지속함으로서 내수확대와 산업구조조정을 통해 경제발전 방식의 전환을 강력히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표명한 것이라고 진단한 것이다.
중국 내수소비시장은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통해 가전하향, 자동차하향, 이구환신 등 내수확대 정책을 올해도 연장 시행하고 가격상한선을 인상하고 해당품목을 확대함으로써 내수 소비를 확대할 계획이다. 특히 가전제품, 자동차(부품), 건설용 자재 등의 수요가 증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중국정부는 금융위기 극복과정에서 부진했던 10대 중점 산업 구조조정 및 진흥을 가속화하고 신에너지, 신소재, 녹색산업 등 전략산업을 집중 육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철강, 조선 등 과잉산업의 생산량 규제, 노후 설비의 퇴출, 기업간 M&A를 지원 등 산업 구조조정과 기술혁신, 전략산업 육성을 통한 장기적으로 산업구조를 고도화하고 경쟁력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와 같이 중국정부의 내수확대와 구조조정을 통한 안정적 성장은 대중국 의존도가 높고 중국 내수시장에 진출하려는 우리기업에게 긍정적 기회로 작용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