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F, 올 세계경제 4.2%→4.6% 성장 상향조정
내년은 유럽 재정위기 악영향 우려로 4.3% 유지
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세계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4.2%에서 4.6%로 상향조정했다. 하지만 내년에는 4.3%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유지했다.
8일 IMF는 '세계경제전망(WEO)'보고서에서 올 봄 세계경제가 아시아 지역의 견실한 성장을 바탕으로 애초 예상을 웃도는 성장을 했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에서 올해 선진국의 성장전망을 종전 2.3%에서 2.6%로 올려 잡았고, 신흥개도국의 성장률 전망치도 6.3%에서 6.8%로 각각 상향조정했다. 그러나 유로존 국가의 성장률 전망치는 남유럽 재정 위기 등을 감안해 지난 4월과 동일한 1.0%를 유지했다.
이번 경제전망에서 한국의 올 경제성장 전망치는 4.5%에서 5.7%로 상향조정됐고, 내년은 5.0%의 전망치를 유지했다.
미국의 올해 경제성장은 3.3%, 내년 2.9%로 지난 4월 전망치 보다 각각 0.2%, 0.3% 상향조정됐다. 중국의 경우는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10.5%로 종전 4월 전망 때 보다 0.5%포인트 상향조정됐지만, 내년 전망치는 9,6%로 종전 대비 0.3% 내려 잡았다. 일본도 올해 기존 전망치 보다 0.5% 오른 2.4%의 경제성장을 전망했으나 내년 전망치는 1.8%로 0.2% 낮췄다.
IMF는 내년 경제전망에서 남유럽 재정위기 등에 따른 금융시장 불안으로 경기 회복 기조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우려했다.
이와 관련해 "현 시점에서 최근 금융불안의 잠재적 성장억제 효과는 매우 불확실하고 타 지역으로의 파급효과도 제한적일 것으로 간주되지만, 재정상태가 더 악화되면 세계경제 성장에 큰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IMF는 단기적 위험요인으로 통화에 대한 위험심리에 따른 재정 스트레스와 그 파급효과를 꼽았다. 이에 대해 금융비용 증가와 은행 재무구조 악화를 불러와 대출 긴축, 기업과 소비자 심리 악화, 상대적 환율의 급변으로 이어지고, 무역-금융 간 연관성은 국제수요 위축을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