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중동사태 진정 후 신규 발주 대응 필요
경기부양·민생안정 위해 인프라·설비 투자 확대 예상
"중동사태가 진정되면 경기부양과 민생안정을 위해 인프라·설비 투자가 확대될 것이므로 국내 건설사들은 이에 대한 대응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12일 남대문로 상의회관에서 개최한 ‘중동사태의 경제적 파급효과 전망 세미나’에서 강신영 해외건설협회 실장은 이같이 주장했다.
강 실장은 “이번 중동사태로 인해 단기적으로는 리비아 등 일부 국가에서의 수주활동이 위축될 것”이라면서도 “사태가 진정되면 경기부양 효과가 큰 건설경기 위주로 투자 확대가 예상되므로 국내 건설기업들에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GCC(Gulf Cooperation Council , 걸프협력회의) 6개국의 향후 5년간 프로젝트 발주 규모가 1조3,000억달러로 예상된다”면서 “최근 유가 상승으로 많은 오일 머니를 축적한 것도 신규 발주 확대에 큰 몫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발표를 통해 “중동사태의 진정 시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하반기 이후 유가 상승세가 멈출 경우 세계경제는 회복추세를 재개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전체적인 성장활력 둔화는 불가피하다”고 예상했다.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가·원자재가 상승에 따른 인플레 압박이 소비회복을 제약하면서 올해 국내 경제 상승률은 4%대 초반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서정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수는 “이번 중동사태의 본질적 원인은 물가상승에 따른 국민의 생활고, 권력세습과 장기집권에 따른 부패 등 경제·정치적 문제들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폭발한 것”이라 규정하면서 “중동 외교전략에 있어서도 포괄적 접근보다는 쌍무적 동반자 관계 구축 등의 맞춤형 외교를 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세미나에는 경남기업, 대림산업, 대우건설, 두산건설, 롯데건설, 삼환기업, 코오롱 건설, 한진중공업, 현대상선, 현대엠코, 현대오일뱅크, GS건설, IBK투자증권, LG상사, SK건설, KCC건설 등 중동 지역 진출 관심기업 임직원 60여 명이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