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리 수급전망-냉연강판> 2011년 내수, 전년비 7% 증가 머물 것
상반기 내수, 1분기 2.8% 증가 이어 2분기 대폭 증가
하반기 내수, 상반기보다 대폭 둔화
2011년 상반기 냉연강판(CR) 내수는 국내 자동차 생산 증가 등 제조업 경기 회복으로 전년동기비 11.2% 증가, 하반기는 제조업 경기 둔화로 2.8% 증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 상반기 내수, 1분기 2.8% 증가 이어 2분기 대폭 증가
2011년 1분기 냉연강판 내수는 지난해 지속된 두 자릿수 성장세를 마감하면서 전년동기대비 2.8% 성장을 기록, 2분기는 지난해 하반기와 유사한 증가세를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2010년 상반기에는 자동차 생산이 37% 증가한 데 힘입어 냉연강판 내수도 62% 증가했지만 올해 상반기는 자동차 생산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냉연강판 내수도 11.2% 증가에 그친 것으로 추정된다.
1분기 내수 증가율은 유통사들의 재고 소진 영향으로 자동차 등 수요 산업의 생산 증가율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2분기에는 기저효과와 냉연 수입이 41% 증가하면서 전년동기비 18.9%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 하반기 내수, 상반기보다 대폭 둔화
올해 하반기 내수 증가는 상반기 11.2%보다 대폭 둔화된 2.8%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연간으로는 6.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증가세는 내년까지 지속되면서 2012년 상반기 내수는 전년동기대비 2.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 상반기 수출, 전년동기비 10% 증가
올해 상반기 냉연강판 수출은 1분기 10.8% 증가에 이어 2분기에도 9.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 상반기는 일본 지진의 영향으로 해외 자동차사들이 자동차 강판 구입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국내 냉연업체들의 수출이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1 ~ 5월 누적 수출은 중국 비중이 33%를 기록, 일본과 기타 아시아의 수출 비중이 각각 15%와 26%를 점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 하반기 수출, 車산업 호조로 6.2% 증가 전망
올해 하반기 냉연강판 수출은 일본 대지진 반사이익 및 중국 자동차 생산 둔화 등 주요 수출 지역의 수요산업 생산 둔화로 전년동기비 2.8%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상반기는 경기 회복 지속으로 세계 자동차 생산 증가세가 이어지고, 대지진으로 인한 일본산 냉연강판 수출 차질로 국내산 냉연강판 수출이 반사이익을 얻은 반면 하반기에는 이러한 효과가 둔화될 전망이다.
| 냉연강판 수급전망 | |||||||||||||
| 구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상반기 | ||||||||||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
| 천톤 | 7,363 | 1,852 | 2,030 | 3,882 | 1,993 | 1,967 | 3,960 | 7,842 | 1,908 | 2,057 | 3,965 | 2,025 | |
| 총수요 | 전년비% | 14.6 | 7.1 | 13.9 | 10.6 | 3.6 | 2.0 | 2.8 | 6.5 | 3 | 1.3 | 2.1 | 1.6 |
| 전기비% | 14.6 | -4.0 | 9.6 | 0.8 | -1.8 | -1.3 | 2.0 | 6.5 | -3 | 7.8 | 0.1 | -1.6 | |
| 천톤 | 3,506 | 821 | 1,045 | 1,866 | 955.0 | 925.0 | 1880.0 | 3746.0 | 848 | 1,058 | 1,906 | 939 | |
| 명목소비 | 전년비% | 36.6 | 2.8 | 18.9 | 11.2 | 3.0 | 2.5 | 2.8 | 6.8 | 3.3 | 1.2 | 2.2 | 2.5 |
| 전기비% | 36.6 | -9.0 | 27.3 | 2.0 | -8.6 | -3.1 | 0.8 | 6.8 | -8.3 | 24.8 | 1.4 | -7.5 | |
| 천톤 | 3,957 | 1,031 | 985 | 2,016 | 1038.0 | 1042.0 | 2080.0 | 4097.0 | 1,060 | 999 | 2,059 | 1,046 | |
| 수출 | 전년비% | 0.0 | 10.8 | 9.1 | 10.0 | 4.1 | 1.5 | 2.8 | 6.2 | 2.8 | 1.4 | 2.1 | 0.8 |
| 전기비% | 0.0 | 0.5 | -4.5 | -0.4 | 5.4 | 0.4 | 3.2 | 6.2 | 1.7 | -5.8 | -1 | 4.7 | |
| 천톤 | 6,822 | 1,697 | 1,860 | 3,557 | 1843.0 | 1827.0 | 3670.0 | 7227.0 | 1,779 | 1,934 | 3,713 | 1,906 | |
| 생산 | 전년비% | 9.6 | 3.1 | 12.0 | 7.6 | 5.9 | 3.0 | 4.4 | 5.9 | 4.8 | 4 | 4.4 | 3.4 |
| 전기비% | 9.6 | -4.3 | 9.6 | 1.2 | -0.9 | -0.9 | 3.2 | 5.9 | -2.6 | 8.7 | 1.2 | -1.4 | |
| 천톤 | 541 | 155 | 170 | 325 | 150.0 | 140.0 | 290.0 | 615.0 | 129 | 123 | 252 | 119 | |
| 수입 | 전년비% | 174.4 | 86.5 | 41.0 | 59.5 | -18.1 | -9.3 | -14.1 | 13.6 | -16.5 | -27.6 | -22.3 | -20.7 |
| 전기비% | 174.4 | 0.1 | 10.0 | -3.9 | -11.8 | -6.7 | -10.6 | 13.6 | -7.9 | -4.7 | -13.1 | -3.3 | |
| 주 : 2011년 2분기는 추정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