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CBSI 소폭 하락
중소업체지수 9.2p 급락
한국건설산업연구원(원장 김흥수)은 7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가 전월 대비 3.0포인트 하락한 71.1을 기록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건산연은 "CBSI가 5월에는 전월 대비 7.5포인트 감소했다가 6월에는 7.8포인트 증가하고, 7월 들어 다시 3.0포인트 하락하는 등 올해 들어 지수가 65~75사이에서 1~2개월 간격으로 등락을 계속 반복하며 횡보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CBSI가 기준선인 100.0에 훨씬 못 미친 70선 주위에서 횡보세를 지속한다는 것은 그만큼 건설경기가 좀처럼 회복되지 못하고 침체 국면을 지속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홍일 건산연 연구위원은 "7월에 CBSI가 하락한 것은 건설 경기의 침체 수준을 개선할 만한 특별한 긍정적 요인이 없는 가운데, 통상 건설공사 비수기인 혹서기로 접어든 계절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업체 규모별로는 대형업체 지수가 소폭 상승한 반면, 중견과 중소업체 지수는 전월 대비 모두 하락했다. 지난 6월에 전월 대비 6.4포인트 상승해 83.3을 기록했던 대형업체 지수는 7월에는 전월 대비 1.3포인트 상승한 84.6을 기록해 전월과 비슷한 침체 수준을 나타냈다.
일부 중견업체의 유동성 위기 직면 영향으로 지난 4월 지수가 전월 대비 18.6포인트 급락했던 중견업체 지수는 5월, 6월 2개월 연속 상승(8.3포인트, 7.2포인트 상승)했으나, 7월에는 2개월 동안 15.5포인트 상승한 것에 대한 부담감과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전월 대비 1.9포인트 하락한 72.0을 기록했다.
1/4분기 극심한 부진을 보였던 공공공사 발주가 2/4분기 이후 차츰 회복됨에 따라 공공공사 의존도가 높은 중소업체 지수는 4월 이후 3개월 연속 상승해 6월에 63.6을 기록하며 작년 4월(67.9) 이후 1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7월에는 3개월 연속 지수 상승(30.9포인트 상승)에 대한 부담감과 계절적 요인으로 전월 대비 9.2포인트 하락한 54.4를 기록하면서 7월 전체 CBSI 하락을 주도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업체 지수가 전월 대비 2.8포인트 증가한 80.2로 소폭 증가한 반면, 지방업체 지수는 전월 대비 14.0포인트 급락한 57.2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홍일 연구위원은 "지난 5월과 6월 지방의 주택물량이 소폭 회복된 듯 보였으나, 비수기를 맞아 주택물량이 다시 감소함으로써 지방업체 지수가 크게 하락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고 전했다.
한편, 8월 CBSI 전망치는 7월 실적치 대비 7.0포인트 하락한 64.1을 기록했다.
이 연구위원은 "실적치 대비 익월 전망치가 7.0포인트 하락한 것은 건설업체들이 8월 건설 경기 침체 수준이 7월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는 의미"라며, "통상 8월에는 계절적 요인에 의해 CBSI가 하락하는 경우가 많아 8월 CBSI는 7월보다 하락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