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비철금속 일일시황 [유진투자선물]
* 전일 동향
전일 전기동이 상승했다. 5일 연속이다. 또한, 나머지 메탈들도 이런 움직임에 편승해 일제히 상승하고 있다. 한편, 전일 상승에 가장 크게 작용한 것은 8월 美 FOMC 의사록이다. 또한, 세계 최대 구리 생산국인 칠레의 생산감소와 Grasberg 구리광산의 파업 가능성도 상승을 지지했다. 반면, 전일 발표된 美 경제지표는 실망스러웠다.
FOMC 의사록, 자산매입 등 추가 양적완화조치 선호. 일부 FOMC 위원들은 경기부양 및 실업률 하락을 위해 보다 공격적인 조치를 선호. 반면, 다른 위원들은 추가 경기부양책이 인플레 압력을 증가시키고 실질적 효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며 반대함. 추가 경기부양조치로 추가 국채매입 방안, 단기국채를 매각하고 장기국채를 매입하여 연준 보유자산의 만기를 연장하는 방안, 초과지불준비금에 대한 이자율 인하 방안 등 다양한 방안들을 논의하였으나, 세부적인 추가 부양책에 대한 합의를 이뤄내지는 못함.
예상을 크게 하회한 美 소비자신뢰지수. 미국 7월 소비자신뢰지수는 전월대비 하락한 44.5로 09년 4월이래 최저. 예상치 52.0을 하회함. 08년 10월이래 최대 하락폭. 이는 고용 및 소득에 대한 소비자전망이 악화되었기 때문인 듯.
* 전기동
칠레, 구리생산 2개월 연속 감소. 칠레 국가통계국(INE)에 따르면 칠레의 7월 구리생산은 전년동월보다 18%, 전월보다 14% 감소한 373,498톤을 기록. 세계 1위 구리광산인 칠레 Escondida 구리광산에서 7~8월에 파업이 발생하는 등, 공급측면 차질이 칠레의 구리생산에 타격을 입힌 듯.
페루, 7월 구리 생산량 감소. 세계 2위 구리 광산 국가인 페루 에너지 광산 부에 따르면 7월 구리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5.6% 감소한 100,478톤. 이는 Southern Copper와 Xstrata사의 Tintaya 광산과 같은 주요한 생산자들의 광산에서의 생산량이 감소했기 때문. 그들의 생산량은 전년동월대비 19% 감소함. 7월 아연 생산도 전년동월대비 22.7% 감소한 103,455톤. 이는 Antamina 광산과 Volcan 광산에서의 생산량이 급격하게 감소했기 때문인 듯.
LME(3M) 전기동 가격 전일대비 0.94% 상승한 $9,160. 창고재고량은 전일보다 550톤 감소한 464,375톤. Cancelled warrants는 7,700톤.
* 금일 전망
너무 빠른 상승이 부담?
또 상승했다. 벌써 5일째다. 상승이 나쁜 건 아니지만, 사실 계속되는 상승이 조금 부담스럽다. 물론, 전기동이 상승하는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알다시피 타이트한 수급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상승에 대한 기대도 다시 돌아오는 모습이다. 거기에 전일에는 QE3에 대한 기대까지 다시 살아났다. 특히, 전일 발표된 8월 FOMC 의사록만 놓고 본다면, 다음 9월 FOMC에서 새로운 경기부양책이 논의될 가능성은 매우 크다.
그렇다고 무조건 상승할 것으로 보는 것은 아니다. 실제 정해진 것은 아무 것도 없기 때문이다. 단지, 9월 FOMC 전까지 하락할 가능성만 줄어든 것 뿐이다. 상황은 여전히 좋지 않다. FOMC 의사록에 공개된 내용처럼 위원들이 경기침체를 전망한 것은 아니지만, 많은 위원들이 경기하강 위험이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물론, 일부 위원들은 경제회복이 여전히 다소 일시적이고, 부정적인 충격에 취약하다고 언급하였다. 결론적으로 시장은 지난주와 별반 다를게 없다. 굳이 찾자면, 기대만 더 높아졌다.
[그림 1] 5일 연속 상승한 전기동 가격
다른 한편에선 일시적인 조정을 원할 것 같다. 특히, 현재 대부분의 수요를 커버하고 있는 중국의 입장에서는 더더욱 그렇다. 이는 LME-SHFE간 차익거래 기회가 줄어들어 중국의 추가적인 수요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이를 의심케 하는 변화도 나타나고 있는 듯 하다. 가파르게 증가했던 아시아지역 전기동 출하예정물량이 다급 급격하게 감소했기 때문이다(이달 들어 4325톤까지 증가했던 물량은 전일 2375톤으로 감소).
물론, 최근들어 출하예정물량 변동이 매우 심해 수요감소와 무작정 연관 지을 수는 없을 것 같다.
한편, 현재 전기동 가격은 일목균형표상 기준선이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준선($9,176)을 뚫고 상승할 경우, 추가 상승 가능성도 열어둬야 할 것 같다(그림 1).
예상레인지: $9,038~9,290.
*상세내용 첨부자료 참조
*자료제공: 유진투자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