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리 전망-강관> 2012년 하반기부터 수요 회복
포스리가 2012년 강관 생산량량이 하반기 회복세를 보이며 내수 1.6%, 수출 6.1%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포스리는 수급전망을 통해 올 상반기까지 유로존 재정위기의 심화로 내수 및 수출의 둔화가 이뤄지겠지만 하반기부터는 재정위기가 완화되면서 수출을 중심으로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 2011년 내수
포스코경영연구소(소장 김준한, 이하 POSRI)는 27일 발표한 수급전망 보고서를 통해 지난해 내수는 건설경기 침체 장기화와 국제 금융시장 불안으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상반기 5.5%, 하반기 1.6% 감소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로는 3.7% 줄어든 것이다.
3/4분기의 경우 계절적 성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주택건설 시장 부진에 따라 건설업 침체와 글로벌 금융 불안 여파로 인해 내수판매가 전년비 0.7% 증가하는 데 그쳤으며 하반기는 국제 열연가격 급락으로 고객사들이 강관 가격의 추가 하락을 기대하며 매입을 줄였다고 분석했다.
■ 2011년 수출입
지난해 강관 수출은 고유가 및 美·中 무역분쟁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송유관 및 유정관의 대미수출이 크게 늘어났다고 봤다. 특히 대미 수출비중이 54.8%로 확대되고 중동 지역 수출도 전년동기 대비 59.9% 증가함에 따라 수출량 200만톤 돌파도 가능했다고 분석했다.
수입의 경우 국내 내수물량 포화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저가재의 유입 등으로 전년대비 27.3%의 높은 증가세를 이어갔다고 봤다. 또한 중국에서의 수입 비중이 57%를 차지했으며 유럽에서의 수입이 전년동기대비 85.6% 증가하는 등 모든 지역의 수입이 증가했다.
■ 2012년 전망
2012년 강관 생산은 내수 둔화에도 불구하고 대미 수출 호조로 전년 대비 3.4% 증가한 515만톤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상반기 강관 생산은 내수 부진, 수출 둔화 및 재고 누적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에 그치겠으나 하반기에는 내수회복과 함께 글로벌 경제 개선, 고유가 등으로 수출이 확대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 5.4%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내수판매는 건설 및 조선산업의 부진이 상반기까지 이어지면서 전년대비 1.6% 증가한 342만톤 수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상반기의 경우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이 건설과 조선업에 영향을 미쳐 전년동기대비 0.1% 증가에 그칠 것으로 봤으나 하반기에는 정부의 SOC 예산 조기 집행 등으로 침체국면을 벗어날 것으로 봤다. 하반기 증가율 전망은 3.2%다.
수출은 하반기 유로존 재정위기 완화, 미국 경기 회복세 등으로 전년대비 6.1% 증가한 251만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 상반기에는 글로벌 경제 위축 및 원/달러 환율 변동성 증가로 인해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에 그치겠으나 하반기에는 경기 회복 기조에 따라 7.7% 늘어날 것으로 봤다.
강관 수입의 경우 내수 둔화에도 불구하고 중국산의 지속적인 유입으로 전년대비 3.4% 증가한 781톤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 <포스리 수급전망 - 2012년 1/4분기> | ||||||||||
| (단위 : 톤 / %) | ||||||||||
| 
 | 2011 | 2012 | 2013 | |||||||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
| 1분기 | 2분기 | 
 | 3분기 | 4분기 | 
 | 1분기 | ||||
| 총수요 | 천톤 | 5,738 | 1,429 | 1,538 | 2,967 | 1,411 | 1,558 | 2,969 | 5,936 | 1,469 | 
| 전년비 | 5.3 | 2.1 | 1.5 | 1.8 | 5.2 | 5.1 | 5.2 | 3.4 | 2.3 | |
| 전기비 | 5.3 | -3.6 | 7.6 | 5.1 | -8.3 | 10.5 | 0.0 | 3.4 | -6.1 | |
| 명목 | 천톤 | 3,373 | 892 | 891 | 1,783 | 749 | 894 | 1,643 | 3,426 | 902 | 
| 전년비 | -3.7 | 0.2 | 0.0 | 0.1 | 2.2 | 4.0 | 3.2 | 1.6 | 1.1 | |
| 전기비 | -3.7 | 3.7 | -0.1 | 12.0 | -16.0 | 19.5 | -7.9 | 1.6 | 0.8 | |
| 수출 | 천톤 | 2,365 | 537 | 647 | 1,184 | 662 | 664 | 1,326 | 2,510 | 561 | 
| 전년비 | 21.5 | 5.5 | 3.5 | 4.4 | 8.8 | 6.7 | 7.7 | 6.1 | 4.4 | |
| 전기비 | 21.5 | -13.6 | 20.3 | -3.8 | 2.4 | 0.3 | 12.0 | 6.1 | -15.5 | |
| 생산 | 천톤 | 4,983 | 1,259 | 1,327 | 2,586 | 1,195 | 1,373 | 2,568 | 5,155 | 1,292 | 
| 전년비 | 2.6 | 1.7 | 1.4 | 1.5 | 5.7 | 5.2 | 5.4 | 3.4 | 2.6 | |
| 전기비 | 2.6 | -3.5 | 5.4 | 6.2 | -9.9 | 14.9 | -0.7 | 3.4 | -5.9 | |
| 수입 | 천톤 | 755 | 170 | 211 | 381 | 215 | 1,852 | 400 | 781 | 170 | 
| 전년비 | 27.3 | 5.2 | 2.1 | 3.5 | 2.5 | 4.4 | 3.4 | 3.4 | 0.1 | |
| 전기비 | 27.3 | -4.1 | 23.6 | -1.7 | 2.2 | -13.9 | 5.2 | 3.4 | -8.0 | |
| 자료 : 포스코경영연구소(POSRI) | ||||||||||
| *2011년 4분기는 추정치, 이후 POSRI 전망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