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 제품, 신수요 개발 더욱 절실한 이유
2012-04-02 김도연
대외 환경이 급격하게 악화된 것도 어려움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지만, 무엇보다 수요가 감소했다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볼 수 있다. 수요의 감소 이유는 수요 비중이 높은 건축경기의 부진 장기화와 높은 가격으로 말미암은 수요 대체다.
세계적으로도 수요 대체는 동 산업의 가장 큰 위협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고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움직임들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수요 대체를 막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수요 대체의 직접적인 요인이 가격이기 때문이다.
아무리 동 및 동합금 제품들이 우수한 특성과 기능성을 갖고 있다고는 하지만 높은 가격은 수요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결국 수요 대체는 인위적으로 어떠한 전략을 갖고 막을 수 있는 사안이 아니라는 점에서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수요 대체 나타나기 시작했던 지난 2005년~2006년이었다면 최소화가 가능했을 수도 있지만, 현재는 더욱 어려워졌다는 점에서 동 산업 발전의 발목을 잡게 됐다.
수요시장의 축소라는 심각한 문제에 부딪히면서 최근 세계적으로 동의 신수요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다.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위해서는 새로운 수요 개발이라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기 때문이다.
국내 동 업계에서도 새로운 시장 개발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선진국들보다는 부족함이 많다. 신 수요라는 것은 없던 것을 만들어내는 것도 있지만, 기존 제품의 시장을 확대시키는 것이 더 현실적이다.
이런 점에서 현재 국내에서 이뤄지는 신수요 개발이라는 것은 관심과 기대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일각에서는 그대로 국내 업체들의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말도 있지만, 현재 국내 업체 중에서 신수요 개발팀이나 예산 등을 책정해 체계적으로 운영하고 있는지 반문하고 싶다.
필요성과 관심도 높고 R&D 부분에서의 실질적인 투자가 이뤄지는 것은 맞지만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체제 자체가 미흡하다. 축소된 시장에서의 경쟁은 제살깎기식으로 변질한 상황에서 새로운 수요시장을 만들어내지 못한다면 동 산업의 미래는 어두울 수밖에 없다.
중기적인 관점에서 실질적인 수요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조직과 예산 등의 투자가 더욱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