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철강산업에 대한 인식 전환 필요하다

2012-08-01     에스앤앰미디어
  올해 상반기까지 철강재 수입 동향을 보면 전체적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5%가 줄어든 1,103만톤에 그쳤다.

  사실 14.5%, 190만톤 감소는 결코 작은 수치가 아니다. 그럼에도 철강 시장에 전반에 걸쳐 수입재의 문제와 이로 인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강도는 훨씬 커지고 있다.

  다시 말해 수입재로 인한 어려움은 양도 양이지만 다른 곳에 문제가 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다시 말해 늘어난 공급자와 공급량 때문에 가격 결정 등 시장 전반이 바뀌었으나 이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철강사들의 탓이 크다고 보는 것이 맞을 것 같다.

  이미 수년 전부터 철강시장의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했다. 이에 공급자들도 고객 중심으로 마케팅 전략을 바꾸고자 노력해 왔지만, 실무자들의 오랜 시간 습관들이 하루아침에 바뀌지 못한 탓이 크다는 이야기다.

  수요가들이 수입재를 선택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공급자 중심 시장에 시달려온 수요가들이 이제 진정한 구매자로서의 목소리와 권한을 행사하고 있는 탓이 아닌가 생각된다. 결국, 그동안 공급자들에게 누적된 불만과 불신을 풀어내는 통과의례가 아닌가 하는 판단이다. 물론 공급자들의 변화를 전제로 했을 때 말이다.

  그러나 더욱 더 큰 문제는 한마디로 CR(Cost Reduction, 원가절감)로 대변되는 자동차, 전자 등 초대형 수요업체들의 극단적인 납품단가 후려치기다. 이 요구에 맞출 수밖에 없는 부품업체들은 그야말로 싼 소재를 찾을 수밖에 없었고 시기적으로, 지난해 봄 이후 저가의 수입재가 대안이 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세 번째는 철강업계 이상으로 변하지 않는 정부의 시각과 판단이다. 철강은 과거 시장개방을 선도하는 대표적 산업이었다. 그만큼 철강산업은 높은 국제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 정부 관계자들의 시각이다.

   더불어 소재 가격을 낮추면 낮출수록 조선, 자동차 등의 수요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지극히 단순한 논리가 여전히 지배적이라는 사실이다.

  이러한 시각은 국산이든, 중국산이든, 일본산이든 철강재를 낮은 가격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이 전체 제조업의 경쟁력에 도움이 된다는 판단과 일맥상통하게 된다. 당연히 철강재에 대한 수입 제한 조치는 마지 못해서이거나 검토 대상조차 되지 않는다. 특히 반덤핑 등 직접적 수입규제는 TV 등 여타 제조업 수출에 치명타를 줄 수 있다는 학습효과도 저변에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현재 상황이 지속되고 고착화 된다면 우리 철강산업 전반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 이는 곧 철강산업은 물론 전체 제조업의 경쟁력 약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철강재는 단순히 제품 가격만 좌우하는 소재가 아니다. 최종 제품의 품질과 납기 등 모든 것을 좌우하는 그야말로 뿌리산업이다.

  차제에 철강산업과 여타 수요산업의 진정한 상생, 그리고 동반성장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겨봐야 한다. 그리고 순망치한(脣亡齒寒)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정책 반영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