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 수출기업으로 재도약
창립후 처음으로 수출이 내수 넘어서
1953년 그룹 창립이후 최초....수출 중심형 사업구조로 완전 재편 의미
2014-02-11 옥승욱
SK그룹의 수출이 내수 비중을 넘어 선 것은 1953년 그룹 창립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이는 SK그룹이 완벽한 수출 기업이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11일 SK그룹에 따르면 상장 15개 계열사(지주회사 SK(주) 제외) 2013년도 연간 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매출 147조 9055억원중 수출은 76조 7322억원(51.9%), 내수는 71조 1732억원(48.1%)으로 나타났다. 수출이 내수를 5조 5589억원 초과했다.
또한 그룹내 비상장 계열사 중 주력회사인 SK E&S, SK해운, SK건설등을 포함해도 그룹 전체 수출실적이 내수를 앞섰다. 실제 상장 계열사들 실적에 이들 주요 비상장 3개사 실적을 더해도 수출은 82조 4645억원, 내수는 81조 8060억원으로 여전히 수출이 내수를 6585억원 앞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같은 수출 초과현상은 SK그룹의 주력 사업부문이 과거 에너지와 통신 중심에서 탈피해 화학, 반도체, 석유화학 등 수출형 중심으로 완전히 재편됐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SK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SK그룹의 수출은 앞으로 더욱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SK그룹이 수출기업으로 확고히 자리잡은 원인은 여러 가지로 분석된다.
우선 SK이노베이션과 SK네트웍스, SK케미칼, SK가스, SKC등 SK그룹의 수출을 담당해온 전통의 수출 강자들이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꾸준히 해외 시장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점이 꼽힌다.
그러나 SK그룹이 이처럼 수출기업으로의 체질 개선에 성공한 근본적인 배경에는 최태원 회장의 강력한 글로벌 영토확장 의지가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SK그룹의 경영시스템인 '따로 또 같이'가 안착하면서 각 계열사들이 때로는 독자적으로, 때로는 공동 작업을 통해 글로벌 무대에서 혁혁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SK그룹 관계자는 "올 한해 미국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신흥 경제시장 불안등 대내외적 난관이 예상되지만 SK만의 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수출실적을 계속 확대할 것"이라며 "수출을 통해 국가경제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