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글로벌 기업 수, 10년간 제자리
브릭스 등 경쟁국은 빠르게 늘어
지난 10년간 우리나라의 글로벌 기업 수가 정체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같은 기간 브릭스(BRICs, 중국·인도·브라질·러시아) 등 주요 경쟁국들의 글로벌 기업 수는 큰 폭으로 늘었다.
2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조사에 따르면 주요 3개 글로벌 기업 순위에 포함되는 한국 기업 수는 지난 10년간 미미한 증가세를 보였다.
매출액 기준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에 포함되는 우리 기업은 지난 10년간(2004~2013년) 11개에서 14개로 3개 증가했다. 반면 중국은 74개(15개→89개), 인도는 4개(4개→8개), 브라질은 5개(3개→8개), 러시아는 4개(3개→7개)가 늘어났다.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하는 파이낸셜 타임스 글로벌 500대 기업의 경우에도 중국은 37개(8개→45개), 인도는 10개(2개→12개), 브라질은 8개(2개→10개)의 급증세를 보인 반면에 우리 기업은 2개 증가(3개→5개)에 그쳤다.
포브스 글로벌 2,000대 기업 순위에서도 우리나라는 지난 10년간 15개가 늘어났으나, 중국 등 경쟁국들의 증가 폭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국가별 글로벌 기업 수에서도 한국은 기존 선진국 그룹(G5,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과 상당한 격차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새롭게 순위에 진입할 수 있는 기업 후보군도 적어 당분간 G5 수준의 상위권 국가로 도약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중국, 인도 등 경쟁국과의 격차는 좁혀지거나 이미 추월당하고 있었다. 포춘 글로벌 순위 500위권 기업의 매출액 기준 90%에 해당하는 우리 기업은 4개, 파이낸셜 타임스 순위 500위권 기업의 시가총액 기준 90%에 해당하는 우리 기업은 3개에 불과하다.
추광호 전경련 기업정책팀장은 "우리나라 안에서 대기업으로 불리는 기업도 세계 무대에 서면 왜소한 경우가 많다"며 "글로벌 순위에 포함된 우리 기업조차 일부를 제외하고는 중간 이하 순위에 머물러 있어 업종별 글로벌 1위 업체와 비교하면 규모가 작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