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그룹사, "성장보다 내실"
30대 그룹 하반기 투자·경영 환경 조사 결과
우리나라 상위 그룹사들은 하반기 외형 성장보다 내실 경영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자산 상위 30대 그룹(2014년 4월 공정위 발표, 금융그룹 제외)을 대상으로 2014년 하반기 투자·경영 환경을 조사한 결과 대다수 그룹은 외형 성장보다는 경영 위험 관리와 경영 내실화를 중점 경영 전략으로 추진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30대 그룹은 하반기 역점 경영 전략으로 ‘환율 변동 등 경영 위험 관리(40.0%)’와 ‘사업 구조조정 등 경영 내실화(36.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 등 외형 성장(10.0%)’ ‘성장 잠재력 확충(6.7%)’, ‘안전 경영 강화(6.7%)’ 순의 답변을 제시했다.
하반기 경제 상황에 대해서는 20개 그룹(66.7%)은 ‘상반기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했으며, 6개 그룹(20.0%)은 ‘상반기보다 좋아질 것’으로, 4개 그룹(13.3%)은 ‘상반기보다 나빠질 것’으로 답변했다.
현재 그룹이 직면하고 있는 경영상 가장 큰 어려움은 ‘채산성 악화(26.7%)’와 ‘내수 부진(23.3%)’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수출 애로(13.3%)’ ‘생산비용 증가(10.0%)’ ‘정부 규제 및 업계 간 경쟁 심화(10.0%)’ ‘자금 부족(6.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올해 30대 그룹의 전체 투자 규모는 연초에 세웠던 계획과 비교해 비슷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초 계획 대비 올해 예상 투자 규모에 관한 질문에 24개 그룹(80.0%)은 ‘연초 계획 수준’이 될 것이라고 답했다. 4개 그룹(13.3%)은 세계 경제 회복 지연과 자금 조달 애로 등으로 ‘축소’될 것으로, 2개 그룹(6.7%)은 ‘확대’될 것으로 응답했다.
하반기 투자에 영향을 줄 경제 변수로는 ‘국내 경기 개선 여부(36.7%)’ ‘세계 경기 회복 여부(33.3%)’ ‘자금 확보(13.3%)’ ‘환율 변동(10.0%)’ 등이 지목됐다. 비경제 변수로는 ‘ 투자 관련 입법 지연(30.0%)’ ‘反대기업 정서(13.3%)’ ‘인허가 및 규제 완화 지연(13.3%)’ ‘노사 관계 악화(10.0%)’ 등이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