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화학 설비 정밀 조사

국가산단 205곳 등 495곳 대상

2014-08-04     박진철

  울산·여수 지역 등에 밀집된 노후 화학 설비는 흔히 '뇌관 없는 시한폭탄'에 비유된다. 주로 1970~1980년대에 설립된 이들 공장에서 독성 화학 물질 누출, 화재·폭발사고가 발생할 경우 자칫 대규모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용노동부는 화학 설비를 이처럼 30년 이상 가동해온 사업장을 대상으로 관계기관 합동으로 정밀조사를 시행한다.

  이번 정밀 조사는 8월부터 시작한다. 조사 대상 중 30년 이상 가동 중인 노후 화학 설비 보유 사업장 495곳 중 국가산업단지 내 사업장 등 205곳은 8~9월 중에 1차 조사하고 나머지 290곳은 10월 이후에 추가로 조사한다.

  조사반은 관계 기관 전문가로 14개 조사반(반당 3~8명)을 구성해 조사하고, 화학 물질 제조·취급·저장 시설 전체에 대해 종합 진단에 준하는 정밀 조사를 벌일 예정이다.

  특히, 이번 조사는 사업장의 안전 기준 준수 여부 확인과 처벌보다는 노후 화학 설비의 사고 위험성 진단과 해결 방안 마련에 중점을 두고, 개선 조치가 필요한 지적 사항은 위험성·시급성·비용 등을 세밀히 분석해 개선 대책에 반영하기로 했다.

  고용부 관계자는 “환자의 건강 상태를 잘 알아야 좋은 처방을 할 수 있듯이 제도개선, 자금지원 등 개선 대책 수립은 노후 화학 설비 관리 과정의 문제가 밖으로 드러나야 가능하므로 이번 실태조사에 노사가 적극적으로 협조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