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철강재 내수 6.9% 증가"

POSRI, 상반기 8.7%, 하반기 5.1% 전년比 증가 전망
높은 재고, 수요산업 둔화 등으로 하반기 증가세 둔화

2014-08-05     방정환

  올해 철강재 내수가 지난해에 비해 6.9%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수출 또한 7.7% 늘면서 전체 수요가 8,674만톤에 이를 전망이다.

  포스코경영연구소(POSRI)는 최근 분기수급전망 보고서를 통해 올해 철강재 내수는 5,531만톤으로 전년대비 6.9%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자동차 생산 증가와 하반기 조선건조량 회복 등이 주요 요인으로 꼽혔다.

  다만 상반기에 8.7% 증가한 데 이어 하반기에는 증가세가 다소 누그러지면서 전년 동기 대비 5.1%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상반기 높은 재고와 하반기 수요산업 둔화 등을 감안할 때 하반기 내수 증가세가 점차 둔화될 것이란 분석이다.

  지난 상반기에는 1분기 12.4% 급증한 이후 2분기에 5.1%로 내수 증가율이 둔화됐으나 여전히 견조한 증가세를 보일 전망이다. 특히 상반기에 봉형강류 수요가 3.5% 증가한 반면에 판재류 수요는 16% 늘면서 전체 내수 증가를 견인하는 양상을 보였다.  

  수출 역시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올해 철강재 수출은 3,143만톤으로 전년대비 7.7%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미국 등 선진국 수요 회복과 해외공장으로의 소재용 수출 증가로 인해 상반기에 8.6%, 하반기에는 6.8% 각각 증가할 것으로 점쳐졌다. 지난 상반기에는 중국, 일본, 미국으로의 수출 호조로 1분기 4.4% 증가한 데 이어 2분기에는 12.8%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추산됐다. 

  내수와 수출의 전반적인 호조로 인해 올해 전체 철강재 수요는 8,674만톤으로 전년대비 7.2%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요 증가에 따라 공급 역시 늘면서 신규설비 가동 등으로 국내 생산이 6.6% 증가한 7,371만톤에 이를 전망이다.  수입 또한 지난해에 비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반제품을 제외한 수입은 1,303만톤으로 전년대비 10.4%나 증가하고, 반제품을 포함할 경우에도 2,111만톤으로 8.8%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수요산업의 경우, 자동차 생산이 소폭 증가하고 조선건조량이 하반기에 회복하겠지만 건설투자 둔화는 여전할 것으로 보여진다.

  자동차는 수출 둔화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으로 전년대비 1.4% 증가한 459만대 생산이 전망됐으며, 조선은 수주가 감소세로 전환됐지만 건조량은 4분기 이후 회복세로 전환되며 연간 2,240만CGT가 예상된다. 연간 건조량은 지난해 21.5% 줄어든 데 이어 올해도 9.3% 감소할 전망이다.

 

POSRI 국내 철강수급 전망

구분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Q1 

Q2 

 

Q3 

Q4 

 

 

Q1 

Q2 

 

Q3 

내수

54,069

25,654

26,107

51,762

13,920

13,954

27,874

13,475

13,960

27,435

55,309

14,000

14,245

28,245

13,565

-4.1

-8.3

0.1

-4.3

12.4

5.1

8.7

6.7

3.6

5.1

6.9

0.6

2.1

1.3

0.7

수출

30,485

14,447

14,744

29,191

7,617

8,066

15,683

7,600

8,150

15,750

31,433

7,910

8,180

16,090

7,790

4.8

-5.7

2.7

-4.2

4.4

12.8

8.6

9.2

4.7

6.8

7.7

3.8

1.4

2.6

2.5

생산

72,051

34,219

34,927

69,147

18,149

18,635

36,784

17,900

19,025

36,925

73,709

18,530

19,130

37,660

18,225

-0.3

-7.0

-1.0

-4.0

8.4

6.6

7.5

6.7

4.9

5.7

6.6

2.1

2.7

2.4

1.8

수입

20,706

9,700

9,693

19,393

5,591

5,616

11,207

5,150

4,750

9,900

21,107

5,350

5,250

10,600

4,950

-10.4

-12.1

0.2

-6.3

13.5

17.7

15.5

8.2

-3.7

2.1

8.8

-4.3

-6.5

-5.4

-3.9

 

반제품제외

12,502

5,882

5,924

11,807

3,388

3,385

6,773

3,175

3,085

6,260

13,033

3,380

3,295

6,675

3,130

-5.3

-9.9

-0.8

-5.6

15.0

15.2

15.1

13.1

-1.1

5.7

10.4

-0.2

-2.7

-1.5

-1.4

POSRI 국내 수요산업 전망

구분

2012

2013

2014

2015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하반기

연간

 

 

상반기

 

 

 

 

 

Q1 

Q2 

 

Q3 

Q4 

 

 

Q1 

Q2 

 

Q3 

자동차생산 

4,559

2,284

2,238

4,521

1,155

1,188

2,343

1,000

1,244

2,244

4,587

1,161

1,205

2,367

1,019

(천대) 

-2.1

-4.1

2.7

-0.8

3.7

1.5

2.6

3.5

-2.1

0.3

1.4

0.6

1.5

1.0

1.8

조선건조량 

31.5

15

9.7

24.7

5.4

5.8

11.2

5.5

5.7

11.2

22.4

7.1

5.8

12.9

5.7

(백만GT) 

-11.3

-28.4

-7.7

-21.5

-32.7

-16.7

-25.2

-7.3

51.5

15.4

-9.3

30.2

0.3

14.7

3.5

건설투자 

186.1

92.2

106.4

198.6

39.6

55.3

94.9

51.9

55.4

107.2

202.1

40.5

56.3

96.8

53.2

(조원) 

-3.9

6.4

7.0

6.7

4.3

1.9

2.9

1.0

0.6

0.8

1.8

2.2

1.8

2.0

2.5

가전생산 

72

66

54

60

58

67

63

56

54

55

59

60

67

63

56

(‘10=100) 

-16.3

-8.4

-26.0

-17.3

-8.6

-1.0

-4.7

0.7

3.2

1.9

-1.7

1.9

-0.1

0.8

0.7

※ 주 : 2014년 2/4분기는 추정치, 이후는 POSRI 전망치, (   )는 전년동기대비 증감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