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호감도 50점 미만
대한상의-현대경제硏 ‘기업호감도’ 조사
기업에 대한 국민의 호감도가 다시 하락하며 보통 수준(50점) 아래로 떨어졌다.
대한상공회의소는 현대경제연구원과 함께 최근 전국 20세 이상 남녀 1,000여 명을 대상으로 2014년 상반기 기업호감지수(CFI, Corporate Favorite Index)를 조사한 결과 100점 만점에 47.1점으로 집계됐다고 6일 밝혔다. 기업호감도지수는 2011년 하반기 이후 3반기 연속 하락하다 지난 반기 51.1점까지 상승했으나 1반기 만에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기업호감지수는 국민들이 기업에 대해 호의적으로 느끼는 정도를 지수화한 것으로 △국가경제 기여 △윤리경영 △생산성 △국제 경쟁력 △사회공헌 등 5대 요소와 전반적 호감도를 합산해 산정한다. 100점에 가까우면 호감도가 높은 것이고 0점에 가까우면 낮은 것으로 해석한다.
지난해 하반기 대비 각 요소별 점수 변화를 살펴보면 ‘전반적 호감도’(49.2점→45.5점)가 크게 하락한 가운데, ‘생산성 향상’(67.8점→61.3점), ‘국제경쟁력’(76.6점→71.2점), ‘국가 경제 기여’(54.5점→49.6점), ‘윤리 경영 실천’(25.2점 →22.1점), ‘사회공헌 활동’(40.9→39.0) 등 모든 요소에서 점수가 하락했다.
기업에 호감이 가지 않는 이유로 국민들은 ‘윤리경영 미흡’(44.5%)을 가장 많이 지적했고, ‘사회 공헌 등 사회적 책임 소홀’(22.3%), ‘기업 간 상생 협력 부족’(21.8%), ‘고용 창출 노력 부족’(10.1%) 등이 뒤를 이었다.
또 현재 기업이 가장 먼저 해주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일자리 창출’(40.6%), ‘근로자 복지 향상’(26.8%), ‘사회 공헌 등 사회적 책임 이행’(16.5%), ‘국가경쟁력 강화’(10.1%), ‘이윤 창출을 통한 국부 증진’(6.0%) 순으로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