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수익성 개선 성과 '뚜렷'
단독기준 매출 4.3% 감소 불구 영업益 6.1% 늘어
WP제품 판매량, 솔루션 마케팅 연계 판매량 13%, 186% 각각 증가
2016년 연결 EBITDA 8.5조원, Debt/EBITDA 3배 목표
포스코(회장 권오준)가 지난해 단독재무 기준으로 매출이 소폭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이 증가하면서 수익성 개선 성과를 이뤘다.
포스코는 5일 여의도 한국거래소 국제회의장에서 개최한 2015년 기업설명회를 통해 2014년 단독기준 29조2,189억원, 영업이익 2조3,500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대비 매출이 4.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6.1% 증가한 수치다.
연결기준으로는 매출액 65조984억원, 영업이익 3조 2,135억원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대비 매출이 5.2% 증가하고 영업이익이 7.3% 증가한 것으로 순이익은 세무조사 관련 손실 등 일시적 영업외손실 반영으로 전년대비 58.9% 감소한 5,567억원을 기록했다.
포스코는 국내외 시황부진에도 불구하고, 철강본원 경쟁력 강화로 고부가가치 제품 및 솔루션마케팅 연계 판매량 증가, 재무구조 개선, 무역 부문에서의 실적개선 등을 통해 연결기준 실적에서 호조를 보였다.
<포스코 2014년 경영실적>
|
||||
구 분 |
연 결 |
|||
2012 |
2013 |
2014 |
|
|
전년비 |
||||
매출액(십억원) |
63,604 |
61,865 |
65,098 |
5.20% |
영업이익(십억원) |
3,653 |
2,996 |
3,214 |
7.30% |
순이익(십억원) |
2,386 |
1,355 |
557 |
△58.9% |
단 독 |
||||
2012 |
2013 |
2014 |
|
|
전년비 |
||||
조강생산(천톤) |
37,986 |
36,416 |
37,650 |
3.40% |
제품판매(천톤) |
35,048 |
33,929 |
34,337 |
1.20% |
매출액(십억원) |
35,665 |
30,544 |
29,219 |
△4.3% |
영업이익(십억원) |
2,790 |
2,215 |
2,350 |
6.10% |
포스코는 지난해 권오준회장 취임 이후 2016년 연결기준 EBITDA 8.5조원, Debt/EBITDA 3배 달성을 목표로 철강 본원경쟁력 강화, 신사업 선택과 집중, 재무구조 개선, 경영인프라 쇄신에 초점을 맞춰 경영활동을 추진했다.
지난해는 중기 경영계획에 따른 첫해 성과는 연결기준 EBITDA 6.5조원, Debt/EBITDA 4.4배를 달성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해 포스코는 철강 본원경쟁력 강화를 통해 대표적 고부가가치강인 WP(World Premium)제품과 솔루션 마케팅 연계 판매량을 각각 13%, 186% 늘리고, WP제품 점유비를 33.3%까지 확대시킴으로써, 수익성 향상에 기여했다. 해외 철강법인 판매량도 전년대비 54% 늘어난 716만톤을 기록했다.
포스코의 기술 경쟁력 강화 활동은WF(World First) 제품 17종, WB(World Best)제품 20종을 개발하는 등 고유기술 개발 및 판매 기반 구축에 집중했다.
리튬사업, 니켈융복합제련사업 등 고유개발기술 검증을 통한 미래먹거리 신사업의 상용화 기반을 구축했고, 포스코특수강ㆍ포스화인 매각 등 포스코와 시너지가 미흡한 사업매각과 비핵심자산 정리를 통해 재무건전성을 제고했다.
또한 프로젝트 중심의 일하는 방식을 도입해 전문가 육성과 성과주의를 강화한 포스코는 전문임원 도입과 PCP(POSCO Certified Professional) 확대로 임직원의 역량 강화를 지원하여 경영비전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난해 대우인터내셔널은 영업이익중 미얀마 가스전 비중이 16%에서 67%로 확대, 성공적인 생산체제를 구축했고, 포스코에너지는 철강 부생가스를 통한 발전설비를 준공하는 등 에너지전문기업으로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포스코 건설은 아프리카·중동 등 신시장으로 사업을 확대, 이들 시장의 수주 금액이 전년 대비 709% 증가했다.
포스코는 올해에도 철강본원 경쟁력 강화에 더욱 매진한다는 방침이다. 철강제품판매 5천만톤 달성을 목표로 Global TSC(Technical Service Center)를 기존 23개에서 29개로 늘리고, 수익성 향상을 위한 고수익 WP제품 점유비율을 36%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솔루션 마케팅 및 고유기술 판매활동 또한 더욱 강화해 수익성 향상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재무구조 개선에도 더욱 박차를 가해 비핵심 자산 매각과 그룹사 지분 매각, IPO등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한 구조 개편을 가속화, 본원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에만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연결 투자비는 전년대비 1.2조원 축소해 4.2조원을 집행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이날 포스코는 올해 매출액 목표를 연결기준 67.4조원, 단독기준 29.3조원으로 발표했다. 단독기준 조강생산과 제품판매 목표는 각각 3,840만톤, 3,590만톤이다. 중기적으로 포스코는 2016년 연결 EBITDA 8.5조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