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94%, “현재 경기 불황”
전경련, 경기체감 국민인식조사 결과 발표
우리 국민 93.9%가 현재 경제 상황을 불황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경기체감에 대한 국민인식’을 조사한 결과(19세 이상 성인남녀 800명 대상)다.
특히, 현 경제 상황을 불황으로 보는 이들 중 48.4%는 경제 회복 시기를 ‘내후년(2017년) 이후’라고 답변해 불황이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가계 소득 및 가계 소비 전망과 관련해서도 부정적 의견이 우세했다. 가계 소득은 ‘지난해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45.4%로 높은 가운데, ‘감소(39.6%)’ 의견이 ‘증가(13.7%)’ 답변보다 더 많았다. 소득이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은 정규직(34.1%)보다는 비정규직(42.5%) 및 자영업(53.0%)에서 두드러졌다.
가계 소비는 국민 2명 중 1명(51.5%)은 지난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응답했으며, ‘개선될 것’이라는 답변은 8.5%에 그쳤다. 가계 소비 역시 비정규직(63.6%)과 자영업(56.5%) 계층에서 부정적 응답률이 더 높았다.
경제 생활에 어려움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은 ‘체감 물가 상승(23.8%)’과 ‘소득 감소(20.1%)’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다음으로 가계 부채(13.4%) 노후 불안(12.5%) 고용 불안(10.0%) 전·월세 등 주거비 부담(9.0%) 교육비(8.3%) 순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상승률 1.3%(2014년)와 괴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 10명 중 8명(80.2%)은 체감물가 수준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더 높다’고 응답했으며, 1년 후 체감물가 수준에 대해서도 ‘지금보다 오를 것’이라는 응답이 72.4%로 나타나 체감물가 상승을 예상했다.
끝으로 가계 부채 유무를 묻는 질문에 국민 10명 중 6명(61.8%)은 가계 부채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들 중 44.1%는 1년 후 가계 부채가 ‘현재 수준’이 될 것으로, 32.3%는 ‘늘어날 것’으로, 23.6%는 ‘줄어들 것’으로 답변했다. 가계 부채에 대한 부정적 전망은 비정규직(45.1%), 월 소득 200만원 이하 저소득층(41.1%)에서 더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