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엔화 약세, 금융위기 재연 우려”

2015-05-29     이광영

  엔화 약세로 한국의 수출이 직격타를 맞는 상황이 앞으로 2∼3년간 이어져 금융위기가 재연될 우려가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은 29일 아시아금융학회와 공동으로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사파이어룸에서 '초엔저의 전망과 파장 및 대응과제'란 제목으로 연 세미나에서 엔저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권태신 원장은 개회사를 통해 "향후 2∼3년간 엔화 약세가 지속되면 한국의 수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며 "자칫하면 원·엔 환율이 하락하면서 발생했던 1997년과 2008년의 금융위기가 재연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발표자로 나선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엔화 약세 장기화에 따른 일본 기업의 이익 확대가 일본 기업들의 체질 또는 제품 경쟁력 강화로 이어지면서 한국의 수출과 기업경쟁력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특히 엔화 약세 이후 한국과 일본 자동차·철강업체들의 영업이익 흐름이 확연하게 차별화되고 있다고 했다.

  오정근 한경연 초빙연구위원은 "마이너스 GDP갭률(잠재 GDP에 비해 실제 GDP가 괴리된 정도)을 100~102%로 회복시키고, 물가상승률을 3%대로 회복시켜야 한다"며 "이를 위해서는 한국식 뉴딜정책과 양적 완화 정책을 혼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올해 3월 말 한국의 본원통화 규모는 116조원으로 명목 GDP의 7.8% 수준인데, 명목 GDP의 10% 수준으로 맞추면 32조원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오 위원은 ▲ 무분별한 자본 유입에 대한 거시건전성 규제 ▲ 질서 있는 외환시장 개입 ▲ 불황형 흑자 교정을 위한 내수 진작 ▲ 적합한 환율제도 모색 ▲ 국제금융외교 강화 등을 제시했다.

  변양규 한경연 거시연구실장은 "일본의 공격적인 수출단가 인하가 예상됨에 따라 엔저의 피해가 상당기간 지속할 것"이라며 "그동안 수출단가를 인하하지 않았던 섬유, 기계, 운송장비 산업을 중심으로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일본과 수출경합도가 높은 자동차산업의 경우에도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면서 “우리나라 수출의 15%를 차지하는 대(對)아세안 수출이 엔저의 타격을 가장 크게 받는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맞춤형 수출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