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철근價 동결…톤당 60만원
제강사-건자회, 13일 동결 합의
6분기 만에 인하세 주춤
												
				
				2015-07-13     이광영
			  상반된 입장차로 난항을 겪었던 3분기 철근가격 협상이 서로간의 양보에 힘입어 ‘동결’로 마무리됐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전기로 제강사는 대한건설사자재직협의회(건자회)와 3분기 철근 기준가격을 톤당 60만원(SD400·10mm 기준)에 합의했다고 13일 밝혔다. 
| 철근가격 변동 추이 (단위:천원/톤) | |||
| 
             
  | 
            
             공장도  | 
            
             1차유통  | 
            
             수입재  | 
        
| 
             2014년 1Q  | 
            
             725  | 
            
             665  | 
            
             590  | 
        
| 
             2014년 2Q  | 
            
             710  | 
            
             640  | 
            
             560  | 
        
| 
             2014년 3Q  | 
            
             685  | 
            
             620  | 
            
             525  | 
        
| 
             2014년 4Q  | 
            
             680  | 
            
             590  | 
            
             515  | 
        
| 
             2015년 1Q  | 
            
             645  | 
            
             570  | 
            
             510  | 
        
| 
             2015년 2Q  | 
            
             600  | 
            
             535  | 
            
             470  | 
        
| 
             2015년 3Q  | 
            
             600  | 
            
             620  | 
            
             525  | 
        
이는 지난 2분기 대비 동결한 가격이며 지난해 ‘분기 단위 가격 시스템’ 시행 이후 5분기 연속 인하세가 멈춘 것이다. 특히 지난해 1분기 톤당 72만5,000원 대비 누적 낙폭은 12만5,000원에 달한다.
첫 상견례와 두 번째 만남까지 제강사가 인상을, 건설사 측이 인하를 주장하며 상반된 입장 차를 드러낸 바 있다. 이에 업계에서는 협상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을 점쳤다.
특히 건자회는 과거 협상의 예시를 들며 2분기 철 스크랩 구매가격이 인하된 것을 지표 삼아 철근가격 역시 인하해야한다는 주장을 내세웠다. 현재 발생하고 있는 불안정한 수급과 하절기 전기요금 인상은 다른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반면 제강사는 6월 철 스크랩의 특별구매로 인한 원가 상승 요인을 인정하고 수급 불안정, 유통가격 급등을 내세워 인상을 주장했다.
그러나 양 측은 지난 9일 세 번째 만남을 통해 서로 한발씩 양보하는 수준의 의견 조율을 이뤄냈다. 기준가격을 신속히 결정해 시장 혼란을 방지해야 한다는 인식이 크게 작용함에 따라 3분기 기준 가격을 사이좋게 동결로 확정지을 것이라는 전망이 현실화 된 것이다.
3분기 가격이 확정되면서 시장 거래 안정은 물론 유통가격의 상승세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철근 유통가격은 톤당 63만원까지 치솟으며 공급 부족을 실감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