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화 5% 하락 시 국내 총수출 3% 감소
현대경제硏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의 국내 수출 영향’
중국이 잇따라 위안화 평가절하를 시행하면서 최근 위안화 환율 가치는 사상 최대인 4.4% 급락한 가운데 원/위안화 환율이 5% 하락 시 국내 총수출이 3% 줄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18일 보고서를 통해 이처럼 밝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위안화 평가절하 조치는 중국 정부가 경기 부양 및 위안화 국제화를 위해 시행한 것으로 판단되며, 앞으로도 위안화 추가 절하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면서 “중국 경기 반등이 쉽지 않고 IMF 특별인출권 편입 가능성을 앞두고 중국 정부의 위안화 국제화 추진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특히 둔화하고 있는 중국 경기에 비해 고평가된 위안화 가치를 고려하면 앞으로 위안화 가치의 추가 절하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보고서는 이어 “원/위안 환율이 5% 하락할 경우 국내 총수출은 약 3% 감소하고 특히 기계 산업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또 보고서는 “위안화 가치가 절하돼도 중국의 수출 증가에 따른 한국의 對중국 수출 증가의 긍정적 파급 경로는 예전에 비해 약해졌다”면서 “중국이 가공무역을 축소하는 등 소재·부품 등 중간재 자급률을 향상시키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보고서는 더불어 중국 상품보다 국내 상품의 수출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약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환율 여건 악화에 따른 수출 감소를 우려했다. 특히, 엔화 약세에 더해 위안화까지 약세를 보일 경우 국내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이에 보고서는 ▲외환 시장 변동에 대한 미세조정 및 시장 안정화 대책을 통해 윈/위안 환율 추가 급락 방지 ▲환 위험 피해가 우려되는 중소·중견 기업들에 대한 무역보험, 유동성 지원, 외환 리스크 관리 지원 강화 ▲한-중FTA 적극 활용 및 중국과의 경제 관계 재정립 ▲우리 수출 상품의 기술력 제고, 브랜드 가치 향상 마케팅 경쟁력 강화 등 비가격경쟁력 향상 등이 시급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