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 강국이 되기 위한 중장기 과제는?"
28일 대전서 소재강국연구포럼 개최
소재 수요-공급자 간 상생협력 체제 강화 절실
정부 소재산업 육성정책 지속 확대 필요 '공감'
2015-10-28 대전=방정환
우리나라가 독일이나 일본과 같은 소재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 산ㆍ학ㆍ연의 공동협력과 함께 수요산업과의 협업 시스템 구축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정부에서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원이 한층 강화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28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는 대한금속ㆍ재료학회와 한국세라믹학회가 공동으로 주관하고 소재강국연구회가 주최하는 '선진 한국의 길…소재강국 연구포럼'이 개최됐다.
이날 포럼에서는 '소재강국'을 소재ㆍ부품 수출이 GDP의 40% 이상인 나라라고 정의하며, 이를 위한 중장기 연구개발사업과 추진과제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소재강국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는 금동화 KIST 석좌연구원은 "한국은 소재 불모지에서 빠른 기술추적으로 기초 및 범용소재의 산업생산 및 연구개발 생태계를 잘 구축했지만 고기능 첨단소재 개발역량은 주력사업의 세계 경쟁력을 유지, 발전시키기엔 미흡하다"면서 "고기술 고부가가치 첨단소재의 연구개발력과 산업생산력이 어우러진 생태계를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연구회는 이를 위해 △미래시장 지향형 소재기술 혁신 △중장기 소재개발 생태 활성화 △세계가 찾는 첨단소재 공급기지화의 3대 과제를 제안했다.
특히 소재기술은 시장독점성이 커서 기술이전 장벽이 높지만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상용화 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다른 산업제품에 비해 길고 시장 실패 가능성도 훨씬 높기 때문에 학제간 협업 또는 융합을 위한 생태계를 만들고 다듬을 필요성이 높다.
연구회는 첨단소재 분야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을 계속 늘려야 하며, 신성장산업을 목표로 시스템 연구개발에는 반드시 관련 소재를 개발하는 과제를 의무적으로 할당하는 제도를 도입해 수요자와 공급자 사이에 상생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또한 재료공학에 대한 기초연구를 확대해 기술이 상업화를 촉지하는 쌍끌이식 개발사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하나 같이 생태계 조성, 인재 양성, 플랫폼 구축에 관해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