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 산업 어려움 ‘지속’
전경련, 2016년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
내년 철강 산업의 어려움이 지속되는 반면, 석유화학 산업은 공급 과잉 해소로 호조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일 여의도 전경련회관 콘퍼런스센터에서 ‘2016년 경제·산업 전망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러한 전망을 내놨다.
이날 세미나에서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은 내년 세계경제가 3.4~3.6% 성장할 것이라 전망하며,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중국 경기 둔화·금융 불안이 주요 이슈가 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강 원장은 미국 금리 인상이 진행되더라도 국내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한 반면, 뉴노멀 시대에 진입한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가공무역 축소로 한국의 對중 수출 구조가 취약해질 것을 우려했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국내경제와 관련해 조선업 등 기업의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며, 다수 업종에서 중국의 국제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또 급격한 인구 고령화와 노동 시장 경직성, 진입규제와 낮은 청년 고용률 등으로 저성장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보았으며, 성장동력 복원을 위한 정책 과제로 규제 개혁, 서비스 시장 개방, 노동시장 구조 개선, 부실기업 구조조정 등을 주장했다.
특히, 내년 국내 주력 산업의 경기 회복은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됐다. 철강 산업은 대형-중견기업 간 M&A 및 사업부문 조정, 중국발 저가 경쟁 심화로 부진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전자·자동차·조선·건설 산업은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이 상존하면서 뚜렷한 회복세를 기대하기 힘들 것이라는 예상이다. 반면, 석유화학 산업은 공급 과잉이 해소되는 등 업황 호조가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