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3분기 GDP, 타국가 대비 양호
한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분기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3분기 경제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2분기에 GDP 성장률이 전 분기 대비 0.3% 증가에 그치는 등 5분기 연속 0%대 저성장에 머물다 6분기 만에 1%대를 회복했다.
한국의 3분기 성장률은 다른 나라들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유럽과 미국 일본 등 주요국 가운데에서는 높은 축에 속한다. 이는 한국의 3분기 성장률이 올라간데 비해 다른 여러 나라의 성장률은 내려갔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유로존의 3분기 성장률은 전 분기 대비 0.3%로 2분기보다 0.1% 포인트 내려가 대규모 양적완화에도 불구하고 회복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로존 회원국별로 보면 전 분기 기준으로 독일의 GDP는 0.3%, 이탈리아는 0.2% 늘어나는데 머물렀다.
그리스는 3분기 GDP가 0.5% 줄어 3분기 만에 다시 마이너스 성장을 나타냈고 핀란드는 GDP가 0.6% 줄어 역시 3분기 만에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반면 프랑스는 성장률이 2분기 0.0%에서 3분기 0.3%로 올랐다.
반면 슬로바키아(0.9%), 스페인(0.8%)의 성장률이 유로존 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왔다. 이밖에 노르웨이 1.8%, 네덜란드 0.1%, 오스트리아 0.1%, 벨기에 0.2%, 칠레 0.4%, 헝가리 0.5%, 리투아니아 0.4% 등이었다.
한편 세계 제2의 경제대국인 중국은 3분기 성장률이 1.8%로 전분기와 같았으며 일본은 올해 2분기에 이어 3분기에도 GDP가 0.2% 줄어들어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으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5번째 경기침체에 진입했다.
특정 국가의 GDP가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하면 경기침체에 진입한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