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실질GDP 1.3%성장…건설·소비 확대 영향
2010년 2분기 이후 최고치..속보치比 0.1%p 증가
민간소비·건설투자 속보치보다 0.1%p, 0.5%p 증가
올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분기대비 1.3% 성장했다. 건설업 호황으로 속보치보다 0.1p 증가하면서 5년 3개월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한국은행이 3일 발표한 '2015년 3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실질 GDP는 전분기대비 1.3% 증가했다. 이 수치는 2010년(1.7%) 이후 21분기만에 최고치다.
한은은 건설투자와 민간소비가 당초 예상보다 더 늘어난데 기인했다고 설명했다. 민간소비는 재화와 서비스 소비가 모두 늘어 1.2% 성장했다. 속보치보다 0.1%포인트 증가했다. 이어 건설투자도 속보치보다 0.5%포인트 늘어나며 전기비 5% 성장률을 보였다.
반면 수출은 LCD, 선박, 비거주자 국내소비 등이 줄어 0.6% 감소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속보치 0.2% 감소 보다 더 악화됐다. 이에 따라 순수출 GDP 성장기여도는 -0.7%포인트에서 -0.8%포인트로 낮아졌다.
경제활동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은 LCD, 선박 등이 부진했으나 반도체, 휴대폰 등이 증가하면서 0.1% 성장했고, 건설업은 주거용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5.6% 증가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음식숙박, 운수 및 보관, 보건 및 사회복지 등이 증가해 1% 성장했다.
실질 국민총소득(GNI) 성장률은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이 증가해 실질GDP 성장률보다 높은 전기대비 1.4%를 기록했다. 실질 GNI는 실질 GDP(국내총생산)에다 교역조건에 따른 무역손익을 더한 뒤 국외순수취요소소득(한국인이 외국에서 번 소득에서 국내 외국인이 번 소득을 뺀 것)을 합해 계산한다. 이에 GDP디플레이터는 전기비 2.6% 상승했다.
또 국민총처분가능소득(1.8%)이 최종소비지출(1.0%)보다 더 크게 늘어나면서 총저축률은 35.8%으로, 전기대비 0.5%포인트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