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분야 출원, 뜨는 기술과 지는 기술은?
전기차 출원 급증, 기계요소 출원 감소
자동차 분야에서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주행제어 및 전기차에 관한 출원은 급증하고 있는 반면, 전통적인 기계장치와 부품에 관한 출원은 감소하고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선진특허분류(CPC)를 기준으로 최근 10년(2006~2015년)출원을 분석한 결과, 자동차 분야 출원은 2006년 11,326건에서 2015년 12,117건으로 7.0% 증가했다.
주요 기술분류별 출원 증가율을 살펴보면, 자율주행과 관련된 주행제어 기술은 178건에서 907건으로 무려 410% 증가했고, 전기차 기술은 252건에서 647건으로 157%나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 차세대 자동차 기술에 폭발적인 출원 증가가 있음이 확인됐다.
반면, 현가장치 기술은 393건에서 262건으로 33%나 감소했고, 조향장치 기술은 1,247건에서 1,066건으로 15% 줄었으며, 차량부품 기술은 1,584건에서 1,337건으로 16% 감소해 전통적인 기계요소 기술은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자동차 분야 전체 출원 중 내국인은 86,182건(81.9%), 외국인은 18,989건(18.1%)을 차지했으며, 국가별로는 유럽(8.3%), 일본(6.0%), 미국(3.0%), 중국(0.2%) 순으로 나타났다.
유럽은 714건에서 1,077건으로 51% 증가했고, 미국은 243건에서 467건으로 92% 급증한 반면, 일본은 662건에서 755건으로 14%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는 국내 시장에서 유럽, 미국 수입차의 수요 증가 및 부품공급 확대 등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외국 업체의 출원 전략의 결과로 해석된다.
출원인별로는 현대기아차가 23,355건(22.2%)로 가장 많고, 현대모비스(4,788건, 4.6%), 한온시스템(2,761건, 2.6%), 한라홀딩스(2,622건, 2.5%), 주식회사 만도(1,284건, 1.2%) 순으로 나타나 완성차 업체인 현대기아차가 전체 출원을 주도하는 가운데 부품 업체들이 그 뒤를 이었다.
특허청 유준 자동차융합심사과장은 “자동차 분야는 정보통신기술(ICT)이 융합, 기존 기계기술을 넘어 경계가 확대되고 있고, 그 중심에 자율주행, 친환경 및 연비향상 기술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와 관련된 연구개발 및 특허출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