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조원 규모 해외 인프라 수주 지원
매년 신흥국 경협 증진 자금 조성
인도, 베트남 등 7개 후보사업 우선 검토
최근 해외건설 수주의 급격한 감소로 관련 업계가 경영 위기에 빠지자 정부가 매년 1조원 규모로 신흥국경협증진자금(개발금융)을 조성해 해외 인프라 수주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은 31일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 등 주요 정부부처와 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해외인프라 수주 및 투자지원협의회를 열고 신흥국경협증진자금 관련 인도, 베트남 등지의 7개 후보사업을 우선검토대상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정부는 연내 사업 승인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는 지난 2월의 해외건설 플랜트 수주지원 협의회 확대개편 이후 처음 열리는 것으로 최근 해외건설수주동향 점검과 대응책을 주요 의제로 했다.
해외건설협회에 따르면 올해 1~8월 해외 건설 신규 수주액은 173억달러(19조3,000억원)로 전년 동기의 330억달러(36조8,000억원)보다 47.5% 감소했다. 이는 지난 2014년의 같은 기간 수주액인 447억달러와 비교하면 무려 61%나 감소한 수치이다.
정부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이란 진출이나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등을 통한 신시장개척과 함께 새로 도입된 신흥국 경협증진자금을 통한 수주지원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신흥국 경협증진자금은 성장장재력이 높은 신흥국을 대상으로 경제협력을 꾀하기위한 일종의 원조자금이다. 수출입은행이 시장차입 자금(수은채)을 바탕으로 신흥국에 중장기, 저리(2~4%)로 금융지원을 하면 정부재정으로 수은에 이차보전(조달-지원 금리차 보전)을 해주는 방식이다. 지원금리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과 수출금리의 중간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