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구축에 추경예산 395억원 편성

산업부, 중소ㆍ중견기업 1사당 2억원 지원

2016-09-04     방정환

  산업통상자원부는 4일 중소ㆍ중견기업의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을 위해 2016년도 추가경정예산에 395억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스마트공장은 제품의 기획ㆍ설계ㆍ생산ㆍ유통 등 전 생산과정에 정보통신기술(ICT)과 사물인터넷기술(IoT)을 접목해 최소 비용과 시간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는 지능형 공장을 말한다.

  정부는 이번 추경 예산을 통해 조선 기자재 업체, 사업재편 승인기업, 소비재 수출기업 등을 최우선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제조업혁신3.0 전략으로 추진 중인 스마트공장 구축사업은 그동안 민관합동으로 2,045개사의 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이들 공장은 각각 원가 29%, 납기 19%, 불량률 27%를 줄여 생산성이 평균 25% 늘어났다.

  지원 대상에 선정된 기업은 첨단기술이 적용된 스마트공장 솔루션 구축과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ㆍ제어기ㆍ센서 등의 구입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관련 분야 15년 이상 경력의 전문가가 직접 사업장을 방문해 기업의 수요와 수준을 고려한 맞춤형 컨설팅을 한다.

  산업부는 "추경부터는 기업 규모·스마트공장 수준 등을 고려해 기업당 최대 2억원까지 차등 지원한다"며 "조선 기자재 업체, 사업재편 승인기업, 소비재 수출기업은 최대 3점의 가점을 부여해 최우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추경 사업을 통해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자 하는 기업은 오는 13일까지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이후 스마트공장추진단과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참여기업 선정ㆍ평가를 거쳐 9월 중 최종 참여기업이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