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신제품 인증, 더 빠르고 편리해진다
‘융합신제품 적합성인증 제도’ 기업 간담회 개최
국가기술표준원(이하 기술표준원)은 ‘산업융합 신제품의 적합성인증 제도(이하 적합성인증 제도)’를 경험한 융합제품 개발업체(8개)와 간담회를 열고 이 제도의 발전방안을 모색했다.
기술표준원은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융합신제품의 개발이 늘어나고 있으나 인증애로로 시장 출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아, 이를 지원하기 위해 ‘적합성인증 제도’를 운영해 왔다.
하지만 인증 소관 부처의 소극적 태도 등으로 여전히 애로를 겪는 기업이 많아, 그간 제도를 진행하면서 도출됐던 개선점을 반영한 ‘적합성인증 제도 발전방안’을 마련했다.
발전방안의 주요 내용은 살펴보면, 우선 제품 출시 후 안전성 문제가 우려돼 소관부처에서 인증 부여에 소극적인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안전성 이슈 유무를 사전 검토한 후, 결과에 따라 지원 방안을 차별화했다. 결국 기업이 자체적으로 책임을 부담할 수 있도록 해 소관부처의 부담을 완화한 것이다.
다음으로 소관부처가 제도 접수를 기피해 업체가 신청에 애로를 겪는 경우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령을 개정함으로써 기술표준원이 업체를 도와 제도 신청 절차를 지원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를 마련 중이다.
또한 제품에 맞는 인증기준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이를 주도할 인력이 없어 절차가 지연되는 문제에 대해서는 시험인증기관 중 전담팀을 지정해 인증기준 초안 마련을 전담하고, 이를 전문가들이 검토해 확정할 수 있도록 조치할 예정이다.
업계는 이를 통해 제도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인증 소관 부처들이 신제품 인증에 소극적인 경향이 있음을 지적하면서, 소관 부처의 적극적 태도 및 인증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술표준원의 지원 역할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 특히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경우 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제도 교육 및 제품시험에 소요되는 비용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업계의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편, 기술표준원은 이 제도 개선방안을 오는 8월부터 신속히 시행할 예정이며, 향후 운영과정에서 개선점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적합성인증 제도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