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 대응, 선도 추진 위해 박차 가해
인천시 추진단 최종보고회, 4개 분야 10대 우선과제 보고
인천광역시는 지역 산업을 중심으로 한 4차 산업혁명 대응 방안에 대해 그동안 추진해 온 내용을 공유하고, 이를 보다 구체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22일 (재)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 미추홀관에서 ‘4차 산업혁명 대비 산업 분야 선도 대응전략’ 추진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가 주관해 추진한 ‘4차 산업혁명 산업 분야 선도 대응 추진단’은 지난 4월 18일 Kick off 회의를 시작으로, 5월까지 인하대,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인천발전연구원 등 산·학·연·관이 함께 진행했다.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한 워킹 그룹별로 도출된 23개 과제에 대해 정부 정책추진 방향, 지역 내 여건, 사업별 추진 계획 등 관련 상황들을 고려, 우선적으로 추진할 것과 향후 기획 연구해 추진할 것에 대해 자체 보고회를 통해 깊이 있게 검토한 바 있다.
이번 보고회에서는 산업 분야 중에서도 선택과 집중이 필요한 바이오, 첨단자동차, 지능형 로봇, 스마트 공장 등 4개 분야의 전략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10건의 우선 과제들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과 향후 추진 방안에 대한 보고했다.
이 외에도 SW융합클러스터 구축 및 글로벌 스타트업 캠퍼스 운영 등의 사업 추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보고회의 주요 내용으로는 바이오 분야는 ‘인천바이오공정전문센터 구축’ 외 2건, 첨단 자동차 분야는 ‘첨단 자동차 전장부품 기업 육성 지원’ 외 1건, 로봇 분야는 ‘인천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협동 로봇 지원 사업’ 외 2건, 스마트 공장은 ‘인천 맞춤형 스마트 공장 보급’ 외 1건이다.
인천시는 이번 보고회 논의 중에서 시기적으로 시급히 추진해야 할 과제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사업비를 확보해 추진할 계획이며, 국비 확보 및 시 예산 확보를 위한 자료 등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새 정부에서는 선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4차산업혁명위원회’를 설치 중에 있으며, 단계별로 ‘4차 산업혁명 추진기반 구축’, ‘분야별 신산업 육성’, ‘신산업 성과 창출’을 목표로 추진 중에 있다.
인천시에서도 정부의 4차 산업혁명 정책에 적극 부응하고, 인천만이 비교 우위에 있는 강점을 지닌 스마트 도시 및 행정, GIS, 바이오 등을 더욱 발전시켜 4차 산업혁명 대응 선도 추진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계획이다.
인천시 윤현모 신성장산업과장은 “4차 산업혁명은 AI, IoT, 빅데이터 등의 첨단기술이 ICT를 기반으로 융합되고 바이오, 로봇, 3D 프린팅 등이 결합, 연결됨으로써, 혁신적인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며 “새로운 산업 분야 발전 프레임 구축 지원에 최선의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