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경북도&경주시와 원전·SMR 전력활용 MOU
SMR 국내실증 경주 유치·SMR 국가산단 투자·수소환원제철 전력공급 방안 등 공동 협력 대규모 대체 에너지 필요한 수소환원제철…지자체와의 원전 협력으로 문제 해결 실마리 잡나?
포스코홀딩스와 경상북도, 경주시가 소형모듈원전(SMR) 1호기의 경주 유치와 월성원전 등 원전 전력의 활용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1일, 서울 포스코센터에서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포함된 정부의 소형모듈원전(SMR) 국내 실증 1호기의 경주 유치와 인근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상호 협력하고, 철강 탄소중립 기술인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원전 전력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3개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SMR 국내실증 1호기 경주 유치 ▲경주 SMR 국가산업단지 투자 ▲수소환원제철 실현을 위한 원전 전력의 공급 방안 마련 등 앞으로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이 같은 내용을 국내 최대 전력과 수소 활용기업인 포스코홀딩스와 MOU 맺었다는 점에서 철강업계에도 의미가 크다.수소환원제철은 철광석에 붙은 산소를 떼어내기 위한 환원제로 기존 사용하던 석탄이나 천연가스 대신 수소를 활용해 전기로에서 쇳물을 제조하는 기술로서 철강 생산과정에 배출되는 탄소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는 탄소 감축 기술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려면 철을 녹이기 위한 1,538도(℃)의 무탄소 내지는 저탄소 열에너지 공급이 필수적이다. 다만 에너지비용이 문제점으로 꼽힌다.
이에 수소환원제철의 성공을 위해서는 안정적이고 값싼 무탄소 전원을 24시간 확보하는 게 핵심으로 평가 있다. 그러나 현재로선 원전밖에 대안이 없는 실정으로 알려졌다.
철강업계에선 수소환원제철을 위해선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고, 이는 간헐성이 있는 재생에너지만으로는 충족할 수 없어 전력구매계약(PPA)을 통해 민간이 원전 전력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이에 이번 포스코홀딩스와 경북도·경주시의 MSR 및 원전 분야 MOU가 철강업계의 모범 대안이 될지 주목되고 있다.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철강업계의 탈탄소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국가 탄소감축 목표 달성의 핵심적 요소로서 이제는 정부가 제도적 기반을 만들어야 할 시점”이라며 “앞으로 지역경제를 책임지고 있는 포스코와 SMR 협력을 강화해 앞으로 원전 전력을 통한 탄소감축 공정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포스코홀딩스는 지난 2월에는 원자력발전소 운전 및 관리를 담다하는 한국수력원자력과 ‘국내외 청정에너지 분야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서’를 체결하고, 청정에너지 공급과 SMR 등 분야에서 다양한 협력 아이템을 발굴해 추진해 나가기로 합의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