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김정관 장관 “對美 철강관세 협상, 협상서 큰 벽 느꼈고 안타깝다”

김정관 장관 “철강협상, 큰 벽 느껴”…50% 관세 고수한 美 입장에 아쉬움 토로 정부, 덤핑 수입 대응·중기 지원책 마련…“철강은 제조업 쌀, 기술력 지원 절실”

2025-08-08     윤철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 김정관 장관이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서 철강 품목관세(50%)를 협상하지 못한 점에 대해 아쉬움과 유감을 나타냈다. 정부는 덤핑 철강 수입 대응과 국내 철강업 경쟁력 발전 지원 등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산업부 김정관 장관은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마치고 국회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6일)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김 장관은 철강 품목 관세가 50%로 유지된 이유를 묻는 국회의원들의 질문에 “우리 측은 대미 수출 무관세 쿼터라도 해보고 싶었고 이를 위해 여러가지 방안을 얘기했는데 아쉽게도 반영을 못했다”라며 “철강 분야는 미국 입장이 자동차(최소 15%)와 마찬가지로 50%로 못박으려는 의지가 강해서 협상에 반영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김 장관은 이 대목에서 “미국과의 관세협상에서 철강관세가 제외된 것에 대해 개인적으로 큰 벽을 느꼈고,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소회를 밝히기도 했다.

 

이어 김 장관은 국회의원들이 이번 협상으로 미국 수출이 어려워진 국내 철강산업을 어떻게 지원할 것인지 묻자 “경쟁국에서 수입되는 저가품에서 국내 시장을 어떻게 보호해야 할 지와 수소환원, 저탄소 고부가가치 품목으로 전환하는 것들이 있다”며 “정부는 무역위원회를 통해 저가품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예정이며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들에 대해선 중기정책자금을 통해 애로를 해소하려고 노력하고 있고, 기술력 제고를 위한 정책도 계속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여당 측 의원이 철강산업 위기를 수소경제와 매칭해 새로운 산업 육성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말한 내용에 대해 “철강 산업 지원과 관련한 정부의 생각도 똑같다”며 “철강은 제조업의 쌀과 같기 때문에 수소와 연계되는 부분과 고부가가치 예산 산업을 확산될 수 밖에 없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된 향후 철강업 지원 대책에 관해선 김 장관은 “철강업계 중소기업들이 어려운 부분이 있는데, 정책자금을 통해 해소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산업의 근본 경쟁력, 압도적 기술력이 절실하다 생각하고 이를 유념해 정책 펼쳐가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김정관 장관은 2022년부터 두산에너빌리티 마케팅부문장(2025년부터 사장)을 역임하다 이번 정부 첫 산업부 장관(7월)으로 임명됐다. 이에 산업 및 철강업계에선 현장에 대한 이해 및 산업 지원책 마련·발전 정책 입안에 높은 기대를 걸고 있다.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