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후판, 美서 ‘덤핑 무죄’…보조금율은 4%대

포스코, 덤핑마진 0% 유지…상계관세율만 소폭 인상

2025-09-11     이형원 기자

한국산 탄소합금후판이 미국 시장에서 ‘덤핑 판매’는 없었다는 예비판정이 내려졌다. 다만 포스코에 대해서는 상계관세율이 4.31%로 산정되며 일부 부담이 이어질 전망이다.

미국 상무부는 9월 5일(현지시간) 한국산 탄소합금후판(Carbon and Alloy Steel Cut-to-Length Plate)에 대한 7차 연례재심 예비판정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심사에서 포스코(POSCO Co., Ltd.)를 단독 조사대상으로 지정한 결과, 덤핑마진은 0.00%로 확인됐다. 이는 한국산 후판이 미국 내에서 정상가격 이하로 판매되지 않았다는 의미다.
 

포스코

반면 상계관세 재심에서는 포스코에 대해 4.31%의 보조금율이 예비 산정됐다. 이는 특정 보조금 혜택이 존재한다고 본 판단으로, 기존 1.47%였던 직전 연례재심보다 인상된 수치다.

이번 판정의 심사기간(POR)은 ▲반덤핑은 2023년 5월 1일부터 2024년 4월 30일 ▲상계관세는 2023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다.

미 상무부는 아울러 지난해 7월 수입 기록이 없던 현대제철, 동국제강, GS글로벌 등 54개 기업을 상계관세 재심 대상에서 철회한다고 밝혔다. 이번 판정은 2023년 1월부터 12월, 그리고 2023년 5월부터 2024년 4월까지의 거래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업계 관계자는 “반덤핑 무혐의는 한국산 후판의 가격 경쟁력을 입증한 결과지만, 보조금율 상향은 향후 미국 수출 과정에서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라며 “최종 판정까지 미국 업계와의 공방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최종 판정은 내년 초 확정될 예정이다.

한편 한국의 대미 후판 수출은 최근 2년간 뚜렷한 감소세다. 철강협회 통계에 따르면 2023년 23만9천 톤(2억9천192만 달러)에서 2024년 18만8천 톤(2억843만 달러)로 감소했다. 평균 수출가격은 2022년 톤당 1,418달러에서 2024년 1,107달러까지 하락했다가 올해는 1,183달러로 소폭 반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