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곡스텐레스, 고부가가치 신사업 확대

‘K-Tech Inside Show 2025’에서 전기차·반도체·방산·로봇 분야 STS 이형재 선보여

2025-10-30     엄재성 기자 = 일산 킨텍스

STS 이형재 제조 및 도소매업체 부곡스텐레스(대표이사 홍성박)가 전기차와 반도체 장비 부품용 STS 이형재 등 고부가가치 신사업을 적극 추진한다.

부곡스텐레스는 10월 29일부터 31일까지 일산 킨텍스 제1전시장에서 개최하는 ‘K-Tech Inside Show 2025’에 참가해 다양한 부문에 사용하는 STS 이형재를 선보였다.

부곡스텐레스가

이윤수 부곡스텐레스 주임연구원은 “당사에서는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기존의 유통가공 사업에 머물지 않고, 다양한 첨단산업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STS 이형재를 개발 중”이라고 말했다.

부곡스텐레스가 공급 중인 첨단산업용 STS 이형재를 살펴보면 자동차 부문에서는 고효율 차량용 엔진에 사용하는 GDI Seamless Full Raill을 공급 중이며, 주변 내연기관 관련 파이프 및 이형형상바를 지속적으로 개발 공급하고 있다. 그리고 환경 및 연료 규제 강화와 대형 완성차업체의 본격적인 시장 진출로 인해 기존 내연기관 외 전기배터리의 고정 지그 및 제어장치의 이형형상바를 개발하여 공급하고 있다.

방위산업 부문에서는 파이프 냉간인발공정을 이용하여 포심, 총열, 주변 부속품을 제작하고 있으며, 로봇 부문에서는 정교한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는 전기 구동 방식의 대표라 할 수 있는 서브모터용 이형재를 개발 중이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반도체 생산공정에서 필요한 고정밀 락피팅류 및 벨브, 튜브와 이형형상바를 장비 제조업체에 공급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배관에는 내식성이 강할 뿐 아니라 내면 조도와 청정도가 좋은 UHP(Ultra High Purity)튜브가 필요한데 부곡스텐레스는 EP(Electro Polishing)를 위한 외경 0.25인치부터 부터 60.33mm까지 최상 품질의 BA튜브를 개발 공급할 예정이다.

이윤수 연구원은 “당사는 기존의 다품종 생산 메커니즘을 통해 국내외 바이어들에게 맞춤형 제작 및 고도화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STS 이형재를 공급 중이다. 향후에는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방위산업, 원자력산업, 자동차산업용 300계, 400계 STS 소재 뿐만 아니라 타이타늄과 인코넬 등 각종 합금소재 부품과 관련한 제품도 개발하여 공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