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14.3GW 달성 시 '양질의 일자리' 36만개 창출
허종식 의원, "공급망 강화·인력 양성 시급…‘바람이 일자리’되는 선순환 만들어야" 기후 위기 대응과 산업 경쟁력 확보 필수
2030년까지 해상풍력 보급 목표를 달성하면 최대 36만 개의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은 2025년 국정감사를 맞아 해상풍력 산업의 현황과 고용 효과를 다룬 ‘해상풍력과 일자리 창출 효과’ 정책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일 밝혔다. 현재 국내 해상풍력은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10월 말 기준 누적 설치용량은 약 0.12GW에 불과하다.
보고서는 기후 위기 대응과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 해상풍력 확대가 필수적이며, 이를 통해 막대한 고용 창출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린피스 모델을 인용해 2030년까지 14.3GW 설치 목표가 달성되면 총 35만 7500개의 신규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추정했다.
고용 분야별로는 ▲터빈·하부구조물 등 ‘제조업’(35%) ▲단지 설치 ‘건설업’(35%)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단지 수명 전반에 걸쳐 안정적 고용이 이뤄지는 ‘운영·정비(O&M)’ 분야가 20%를 차지해 해상풍력이 장기적인 양질의 일자리 공급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보고서는 핵심 부품의 해외 의존도와 인력 수급 불균형 문제를 지적했다. 터빈, 블레이드, 나셀 등 핵심 기자재의 국산화율이 낮아 일자리와 부가가치가 해외로 유출될 우려가 있으며, 석·박사급 전문 연구 인력 부족과 단기 프로젝트 중심 산업 구조로 인한 숙련도 저하가 문제로 꼽혔다.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가 추진해야 할 단계별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단기적으로는 ‘사업 인허가 간소화’ 및 ‘배후항만 인프라 투자 보조 활성화’를 통해 초기 인프라를 확장하고, 중·장기적으로는 ‘규제 완화’와 ‘R&D 지원을 통한 자재 국산화’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직무역량 표준화’, ‘유사산업 유휴인력 전환’, ‘해상풍력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등 인력 양성 지원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종식 의원은 “해상풍력은 탄소중립과 산업 경쟁력, 일자리 창출까지 세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거대한 기회”라며 “하지만 핵심 부품 국산화와 전문 인력 양성이 충족되지 않으면 ‘속 빈 강정’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정부가 직접 나서서 시장의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특화인력 육성을 위한 투자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확고한 R&D 투자와 정책적 지원으로 국내 공급망을 강화하고, 대학·연구기관과 연계한 체계적인 전문 인력 양성 시스템을 구축해 ‘바람’이 ‘에너지’가 되고, 그 ‘에너지’가 우리 청년들과 지역 경제의 ‘양질의 일자리’가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데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