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틸코리아] “산업계, 자가발전 및 전력 직접구매 확대해야”

서울과학기술대 전우영 교수

2025-11-05     엄재성 기자

탄소중립에 따른 재생에너지 공급 확대, AI 전환에 따른 에너지 사용량 증가, 인플레이션 등으로 산업용 전기요금의 대폭적 상승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향후 전기요금에 원가주의를 적용하고, 인해 기업들이 자가발전과 직접구매를 확대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월 5일 선릉 포스코센터에서 개최된 ‘스틸코리아 2025’에서 서울과학기술대 전우영 교수는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한 비용효율적 에너지 전환 모색’을 주제로 발표를 실시했다.

서울과학기술대

전 교수에 따르면 한국의 경우 전기요금 독립성 부재 및 산업경쟁력의 정책 우선순위 후퇴로 인해 산업용 전기요금이 상당히 높아졌다. 특히, 주택용 대비 산업용 요금 비율이 2004년 55%에서 2025년 115%로 급상승했다.

국내 전기요금 구조는 발전/판매가 69%로 가장 크며, 망, 계통 관련 11%, 세금 및 부담금 20%이다. 요금 영향은 발전/판매의 경우 국제 가스가격과 한전 부채 수준, 망과 계통은 송배전과 BESS, 부담금은 기후환경요금(RPS, ETS) 등인데 향후 기후환경요금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전기요금 전망을 살펴보면 전기요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탄소중립과 AI 혁명, 인플레이션 등 3가지이다. 우선 탄소중립을 위한 재생발전 확대로 RPS 및 ETS 비용, 백업비용과 망비용이 향후 전기요금 상승의 주된 원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AI 혁명으로 인해 첨단산업 발전과 전기화로 인해 전력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및 에너지 정책에 따른 인플레이션도 일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전우영 교수는 여러 요인들을 종합하여 산업용 전기요금의 경우 2030년은 2023년 대비 44.5%, 2038년은 70.8% + @ 상승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주요 원인은 ▲해상풍력 확대 및 RPS 비용 증가 ▲ETS – 배출계수 감소에도 배출권 가격 및 유상할당 증가 ▲송전망 – 9차, 10차, 11차로 가며 송전망 비용 계속 체증 ▲재생에너지 확대로 백업 BESS 요구량 증가 ▲백업 LNG 이용률 하락 가속화 등이다.

전우영 교수는 산업용 전기요금 급등에 대한 방안으로 전기요금 구조 개선, 자가발전과 직접구매 확대, 직접 PPA 및 제3자 PPA, 분산특구 PPA를 제시했다.

전기요금 구조 개선을 위해서는 원가주의를 적용해 합리적 요금을 책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리고 자가발전의 경우 태양광 자가발전의 LCOE는 130~150원/kwh로 산업용 요금 179원/kwh(최대 251.4원/kwh, 여름철 최대부하)보다 낮아져, 대체가 가능하며 최근에는 LNG 자가발전을 설치하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둘째, 직접구매제의 경우 그동안 낮은 산업용 요금, 높은 SMP 변동성으로 산업계가 선택하지 않았으나 최근 관심이 높아졌다. 산업용 요금의 경우 SMP가 약 40원 이상이면 장점이 있는 것으로 판단(40원, 각종 부과금, 송배전비용 등)되며, 산업용 수요 실시간 요금제 도입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소매요금이 추종하게 하는 압력이 발생하여 소매요금 합리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직접PPA 및 제3자 PPA는 2022년 9월부터 기업의 RE100 지원을 위해 시행되었으며, 1MW 이상 재생(태양광, 풍력)에너지는 모두 참여 가능하다. 재무적 PPA의 경우 전남 태양광 발전단지와 수도권 산업단지 간 계약이 가능하며, 계약 가격은 170원~180원kwh이다. 구매기업 입장에서는 산업용 가격+@ 수준으로 RE100 인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분산특구 PPA가 있다. 분산에너지에는 신재생에너지, ESS, 열병합(500MW 이하), 수소, SMR 등이 있으며, 2025년 5월 7개 후보지가 에너지 위원회에서 최종 선정됐다. 이 모델은 망요금, 부가정산금 할인, 기후환경요금 면제 등의 혜택이 있다. 다만 재생에너지의 경우 직접 PPA가 유리하며, 분산특구 PPA 참여 유인은 약한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