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당진시 '철강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추진…지역 철강업 대응책 발표

연말까지 ‘당진시’ 철강산업위기 선재대응지역으로 지정토록 행정 지원 지역 철강업 및 노후산단 경쟁력 강화 방안도 내놔…2028년까지 총 6,740억 원 투입

2025-11-18     윤철주 기자

충청남도가 당진시를 올해 말까지 철강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기 위한 여러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한 지역 철강업 경쟁력 강화 방안과 노후 산단 대책 등을 발표했다.

충남도는 지난 17일, 김태흠 도지사와 도 관계 공무원, 11개 기업 관계자 등 19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9차 경제상황 현장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회의에선 현안 보고, 철강 등 지역 기업 의견 수렴과 함께 도에서 ‘노후 산단 및 철강업 경쟁력 강화 지원 방안’을 보고했다.

특히 충남도는 중국 저가 공급, 미 50% 관세 부과 등의 어려운 대외 경제 여건에 봉착한 철강산업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당진 철강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을 올해까지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산업위기 선제지역 지정 시에는 △경영안정자금(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10억 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7천만 원 한도) △대출 만기 연장 및 원금 상환 유예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지원 비율 우대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충남도는 올해 미 관세 대응과 관련한 도내 수출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수출기업 금융 지원(1,000억 원)을 추진하고 무역보험 지원을 확대(350개사 3억 5천만 원→1.350개사 13억 5천만 원)하고 있다. 아울러 해외사무소(7개) 및 통상자문관(6명)을 활용한 해외시장 개척 지원도 지속 추진 중이다.

또한 도는 노후 산단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도내 산단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현재 충청도에서 착공 후 20년 이상 경과된 산단은 전체 129개 산단 중 63% 수준인 81개다. 

도는 당진 아산국가산단(부곡지구) 경쟁력 강화 사업으로 2026년부터 2028년까지 3대 분야 33개 세부 사업에 6,740억 원을 투입해 △그린 철강・미래 모빌리티 전환 △디지털 전환(DX) 주력산업 지원 △산단 근로자 숙소 등 정주 여건 지원을 추진한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김태흠 지사는 당진 내 철강기업을 비롯한 산단 기업들의 어려움과 건의 사항 등을 수렴하고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김 지사는 “도는 당진 철강업계의 위기 극복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철강산업과 노후 산단 지원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며 “연말까지 당진시가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되도록 해 자금 지원 등에 조금이나마 숨통이 트일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지사는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도내 철강 업체들의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을 강조하며 “당진 아산국가산단의 그린 철강 전환과 디지털 전환 등 산업 성장 기반 마련에도 힘을 쏟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