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선택 아닌 필수

스마트팩토리, 선택 아닌 필수

  • 비철금속
  • 승인 2019.04.22 06:00
  • 댓글 0
기자명 박종헌 기자 jhpark@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 경제의 위기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산업의 근간인 제조업이 경쟁력을 상실해 가고 경제는 활력을 잃어가고 있다.

제조업의 위기는 2000년대 들어 계속해서 제기됐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 영업이익은 지난 2015년부터 4년간 증가했으나 올해부터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런 제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한 것이 바로 ‘스마트팩토리’ 구축이다. 스마트팩토리가 도입되면 불량의 원인이 무엇인지, 부품은 어디에 있는지 등 ‘비생산적 활동’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기계와 인력의 가동시간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는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고 생산성이 높아지면 임금 인상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에 정부는 2014년 제조업 혁신 3.0의 3대 전략 과제 가운데 하나로 스마트팩토리 확산 정책을 내놓았고 오는 2025년까지 스마트팩토리 3만 곳을 구축하겠다는 구체적 목표도 설정했다.

그러나 아직도 중소기업엔 ‘그림의 떡’이라는 목소리가 높다. 현재 한국의 스마트팩토리 도입비율은 대기업이 31% 정도이며 중소기업은 11.8%에 불과하다. 지난해 국내 10인 이상 중소기업 약 3만2,000개의 기업이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희망했으나 정부 지원계획은 2만개로 기업수요 반영이 필요하다.

정부 보조를 받아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도입한 중소기업 중에서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불만을 제기하는 업체도 많다. 사후관리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는데 이는 전문 인력 부족 탓이 크다. 스마트팩토리를 구성하는 소프트웨어 전문인력이 부족하다 보니 각 기업에 맞는 맞춤형 소프트웨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스마트팩토리 구축에 필요한 예산과 인력 등의 자원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중소·중견기업은 초기부터 전 공정의 스마트화를 추진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중기부가 스마트팩토리 지원 사업을 단계와 그룹별로 세분화하겠다는 뜻을 밝혀 주목된다. 기업별 처한 상황이 다른 만큼 ‘맞춤형’ 지원을 통해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난관에 봉착한 철강금속 업계에서도 스마트팩토리를 기존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대안으로 인식해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정부는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해 현장의 체감도를 높여나가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