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생산국 중 중국·인도·러시아·한국 증가, 日·美·獨·브라질·튀르키예·이란 감소 성수기 진입 및 車 생산 증가에 10월 생산 전월 대비 0.5% 증가
미국·중국·서유럽·세계수출 가격 12.2%, 3.9%, 2.9%, 2.6% ‘상승’
철강산업 탈탄소화에 고품위 철광석 수요 증가 및 가격 프리미엄 상승 전망
연말까지 협상 시한 연장, 협상 타결 실패해도 보복관세 부과 않기로 발표 광물은 수주 내 타결 목표로 협상 가속화, 中 흑연수출 통제에 대중 강경책 강화 예상
미국·서유럽·중국·세계수출 가격 13.7%, 7.8%, 2.5%, 0.9% ‘상승’
10대 생산국 중 중국·인도·러시아 증가, 日·美·韓·獨·브라질·튀르키예·이란 감소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건설 경기 침체에 9월 생산 전월 대비 2.2% 감소
전기아크로 생산 비중 2050년 56%로 2020년 대비 2배 증가, 용광로는 70%에서 44%로 감소
미국·세계수출 가격 4.1%, 2.7% ‘상승’, 중국·서유럽 가격 각 0.2%, 4.3% ‘하락’
국제재활용국 BIR 조사 결과 대다수 조강 생산·철스크랩 동반 축소 경향 중국은 조강 생산 증가에도 철스크랩 소비↓
IEA “탄소 고배출 프로젝트가 모든 신규 철강 생산 프로젝트의 거의 3분의 2 차지”
녹색 철강제품 위주 프리미엄 시장과 회색 철강제품 위주 저가 시장으로 이분화 예상
“에너지 전환으로 인해 글로벌 광물 가치 사슬에서 1조 달러 규모의 시장 창출”
친환경 DRI 생산기지 중심으로 공급망 재편, 중동 및 호주가 DRI 중심지 될 가능성 높아
포스코 최정우 대표이사는 부회장 겸 집행위원회 임원 선임
33.79%~256.58% 덤핑률 제시…韓 66.45% 미국 자국 제품 보호 위해 마련
“에너지 전환용 금속, 화석연료 대비 집중도 심해 무역 갈등 발생 시 공급망 충격 훨씬 커”
10대 생산국 중 중국·인도·러시아·이란 증가, 日·美·韓·獨·브라질·튀르키예 감소 인도 외 주요국 비수기에 따른 생산 감소에 8월 생산 전월 대비 3.7%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