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판 생산량 77만톤대 유지 11월 판매 소폭 줄어, 내수·수출 동반감소
생산 늘었으나…내수 판매 줄고 수출 늘어 내수 판매 전년 대비 늘었지만, 시황 부진 열연 누계 수출량 400만톤 훌쩍
최근 수출價 감안 '1천엔' 인상 가능성…국내 급락세 고려시 '동결'
생산 4.4%↓·판매 4.7%↓… 건설 수요 부진 언제까지
11월 수입 전년比 29.2%↓…21년 1월 이후 가장 낮아 총수입 386만톤 추산…현대제철, 日 배제 러 수입 꾸준
올해 반제품 생산, 1% 성장도 못 해 코로나 이전 반제품 생산 3,600만톤대 유지 반면 코로나 이후 3,400만톤 안팎 내년 전망도 어두워
영업일 증가에도 겨울철 비수기 영향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와 가공 및 물류 시스템 변화 필요
철근 4사 평균 67.0% 건설 산업 침체 영향 한국철강 85.4% 최고
친환경 에너지 관련법 폐기, 화석 연료 시추 재확대 아메리카 퍼스트 정책에 무역 장벽에 대비 필요
중국산 전년비 58% 급증...중국 경기 침체시 내년에도 强영향? 국내 업계, 판가 조정 및 감산 대응 이어질 듯
韓·베·대만 10월 수입 93.8만톤…전월比 8.1% 증가 저점 탈출 수준…韓 18.7%·베트남 2.9%·대만 4.5%↑
소재사-강관사 제품개발, 생산, 판매 등에서 협력네트워크 구축
각 4.7%·4.6%↓… 성수기 사라진 봉형강 시장 팬데믹 기저효과 사라진 영향 컸던 데 원인
주요 업체 3분기 생산 감소세 확인...내수 판매 늘었지만 감산? 수익성이 포인트 중국산 수입 급증으로 가격 경쟁 열위...재고 축소와 감산으로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