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STS 수요협회에선 환영입장 밝혀…중국산 반덤핑 제재 ‘직접 생산’으로 회피 예정 24개월 내 연간 40만톤 규모 STS 냉연공장 설립 및 가동 시작 계획
2030년까지 1,200MW 데이터 수요 필요, 인터넷 사용자 증가에 데이터 수요 급증 향후 데이터 센터·발전소·인프라 관련 철강 수요 급증 예상
리오틴토, 중국 파트너와 함께 2025년 말 생산 시작, 2030년 1억 톤 생산 전망 DRI 등급 철광석 공급 증가 예상, 글로벌 공급 과잉에 철광석 가격은 하락 예상
대러 무역 제재·中 생산 감소에 수출 증가, 수요 증가·공급 부족에 2024년 수출도 증가 예상
올해부터 생산 시작, 연간 6,000만 톤까지 생산 확대
이집트 신행정수도, 고강도 강철 기반으로 아프리카 최고층 빌딩·경기장·철도 인프라 구축
흑연 매장량 세계 6위, 향후 10년 동안 생산량 40배 이상 증가 예상 산업계, 수입선 다변화 및 기술이전 전제로 한 현지 원료 가공·제조 부문 투자 확대 필요
1,300만 유로 투입해 2024년 4분기 가동 예정, 최종적 연간 선철 100만 톤 생산
中·인도 STS 생산 증가 및 주요국 경기부양책에 크로뮴 계열 합금철 수출 대폭 증가 中 감산 조치 및 대러시아 무역 제재에 일부 망가니즈 계열 합금철 수출도 증가
아연도금강판 시장 연간 1,000만 달러 규모로 대부분 수입 의존 향후 경제성장, 천연가스 개발 효과로 건설자재 등 아연도금강판 수요 대폭 증가 전망
中·인도 STS 생산 증가 및 주요국 경기부양책에 크로뮴 계열 합금철 수출 대폭 증가 中 감산 조치 및 대러시아 무역 제재에 일부 망가니즈 및 실리콘 계열 합금철 수출도 증가
주요 수출국 경기 둔화에 크로뮴 계열 합금철 수출 감소 中 감산 조치 및 대러시아 무역 제재에 망가니즈 및 실리콘 계열 합금철 수출은 증가
주요 수출국 경기 둔화에 크로뮴 계열 합금철 수출 감소 中 감산 조치에 망가니즈 및 실리콘 계열 합금철 수출 증가
제조업 성장·인프라 투자 확대·대형 프로젝트 등으로 고급강 수요 증가 아프리카 FTA 체결로 범용철강 수출 확대, 현지 협력 통해 아프리카 시장 교두보 활용해야
주요 수출국 경기 둔화에 크로뮴 계열 합금철 수출 감소
주요 수출국 경기 둔화에 망가니즈 및 크로뮴 계열 합금철 수출 감소
세계 철강 수요 증가·中 생산 규제에 실리콘·크로뮴 계열 합금철 수출 증가
페로크로뮴 위주로 수출 증가, 4분기 이후 中 생산 규제로 실리콘·망가니즈 계열 수출 증가
중국發 공급 부족에 3분기 이후 증가세, 내년 1분기까지 수출 증가세 지속 전망
철광석 및 크롬 등 풍부, 흑인 소유 지분 규정 등 고려해 현지 업체와의 합작 투자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