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전구체 원천 기술' 국가핵심기술 등 지정 이은 쾌거 올인원 니켈 제련소, 세액공제 등 혜택…800억~900억 원 절감 효과
금속 산화물 지지체의 결함 구조를 정밀 제어하는 기술로 CO2 전환 효율 극대화 간단한 공정 적용해 대량 생산과 상용화 가능성 확보·화학연료 등 각종 산업에 활용 가능
EU의 재생 코발트·재생 리튬 등 의무화 대비 협력, 양국 기업 공동 연구 활성화 등 논의
기존 금속들과는 정반대로 극초박막에서 비저항이 오히려 작아지는 특성 보여 적은 비용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비정질 형태이며 고온 열처리 공정 필여 없어
2021년 도입 이래 안정적으로 운용...연간 약 88만㎥ 공업용수 절약 "지속가능한 산업 생태계 구축 위한 고심과 노고의 결실"
나노소재 한계 극복, 네오디뮴·디스프로슘 등 희토류 자원 순환 시스템 구축 기대
성질 다른 MHP, 니켈매트 혼용에 원료 비율까지 조정 가능 "고려아연 노하우로만 가능...배터리 공급망 자립화 이끌 것"
'온산제련소 합리화 프로젝트' 완수…사업계획 대비 영업이익 2배 전망 조업 프로세스 개선, 에너지 효율 향상 등 다양한 방안 마련하며 리스크 대응
공급망 안전화 통한 산업계 지원 목적 내년, 핵심광물 전광종 지수 개발 완료 계획
공급망 업체 대상 네트워킹 데이 개최...LS전선 등 20여곳 업체 참여 태안 해상풍력 프로젝트 500MW 규모로 개발 중...2026년 착공 목표
아연·은·동 제품에 이은 4번째...탄소배출 저감 기술 개발도 계획 탄소중립 추구하는 글로벌 ESG 기업 도약 위한 중요 발판 마련
이황화 텅스텐과 강유전체 하프늄지르코늄산화물의 이종접합 기술 개발
양사 '각형 배터리 및 핵심 재료 공동 개발을 위한 계약' 체결 파우치∙원통형∙각형…'3대 폼팩터' 포트폴리오 구축 "새로운 폼팩터 개발 성공해 차별적 고객가치 제공해 나갈 것"
‘전략광물자원’ 안티모니 국내 유일 생산…국내 수요의 60% 담당 헤마타이트 공법도 일본 아키타제련소와 더불어 세계 유이 적용
성능·생산성·경제성·적용성 향상된 섬유상 흡착 소재 개발, 산업 안정성 향상 폐 영구자석으로부터 희토류 금속의 회수를 통한 해외 의존도 저감 기대
고내구성 탄소 지지체 도입해 고가의 이리듐 사용량 절감하면서도 성능 및 내구성 유지 수전해 설비 대형화 과정의 걸림돌인 수전해 촉매 비용을 낮출 것으로 기대
‘실리카-수산화물’ 순환을 통한 국소 pH 제어 및 CO2 물질 전달 저하 방지
기존 대비 높은 용량 및 안정성 확보, 상업적 가능성도 증명
온실가스 감축, 시장가치 측면 모두서 강점 신재생에너지 사용 비중 늘리는 것이 관건
휴대용 장비 최초로 탄소 및 리튬 분석 가능한 휴대용 LIBS 원소분석기 등 전시
CuFlake 외 JCR ROD 생산·공급 예정 대기업 계열사 참여로 기존 업체들 파이 줄어들까 우려
원자력硏, 침전반응을 통한 90% 이상 고순도 우라늄 추출 기술 특허 출원 공정 단순화로 높은 현장 활용성, 방사성폐기물 감소로 높은 환경적·경제적 가치 상승
폐실리콘 자원순환 기술로 ‘질화규소 국산화’ 추진 첨단소재 국산화로 경쟁력 확보 및 수입 의존도 크게 줄여
전기전도도 2배 이상 향상·열전도도 감소 등 물성 향상과 상용화 위한 솔루션 제시
나노섬유 정렬로 겔전해질 내부에 이온 전달통로 형성해 전지성능 향상 차세대 이차전지 상용화 해법 제시,‘Energy Storage Materials’게재
수처리 공정에 적용해 신종 환경호르몬 비스페놀류 신속 제거 가능해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