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급화와 기술 차별화 통해 중국산과는 다른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전략적 전환 추진” 우주항공·반도체·원자력·Oil & Gas·풍력발전용 고기능성 소재 연구개발 확대
“정부, 탄소 중립 위해 기업들에 물어야” “CBAM, 위기가 아니라 앞서 나갈 기회”
[특별인터뷰1] “국가 간 경쟁 시대, 정부·기업 지난 10년간 뭐했나?” “철강사, 큰 밑그림 그리고 수요업계와 관계 재설정해야”
“딱딱한 철강에 말랑한 감성 더하다”…현대제철 캐릭터 실험 주목
올해 시황 전반적으로 지난해보다 하락, 고부가제품 판매 확대 및 리스크 관리 주력 사업장 확대 및 전자상거래 기반 확보, 봉형강 전 품목 대응 가능한 유통 백화점 목표
中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의 의미…“정상화 위한 정당한 권리 부여” “KS 규격재 사용 독려해야” 전환점 앞에 놓인 한국 철강산업
강섬유 신규 생산·아이템 추가 발굴·수출 확대 목표, 국토부 표준시방서 개정도 추진
신년인터뷰_김경식 ESG네트워크 대표 / 고철(高哲)연구소 소장 “생존 위한 고정비 유연성 확보 중요” “저탄소 비용의 소비자 전가 가능성 문제 부각”
본지, 22대 국회철강포럼 어기구·이상휘 대표의원 및 권향엽 연구책임 의원 신년 인터뷰 어기구 대표의원 "
한국표준협회 문동민 회장 “탄소배출권 거래제 등 국내 제도와 CBAM 조화 중요”
“안전성 중요한 필수 산업재 부문은 국내산만 사용, 수입재는 일반 범용재 시장만 취급” “국내 및 주요 수출국 건설 경기 장기 침체가 최대 악재”
방윤섭 에스엠로프앤와이어 대표 “복합 유통가공·특화 제품 없으면 생존 위기 심화될 것”
“국내 철강 3대 위협 Overflow, Border, Carbon“ “기업은 혁신, 정부는 정책지원으로 협업체제 구축 필요“
[인터뷰] 정준호 현대제철 봉형강개발팀장 소재 국산화 '앞장'
“고성능·고기능 중심으로 제품 포트폴리오 고도화 통한 시장 경쟁력 강화” “제품과 기술, 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고객의 문제를 해결해 가는 토탈 용접솔루션기업 도약”
“중국산 저가 수입재 대응 위해 고객 맞춤형 특화제품 생산으로 위기 돌파해야” “전기차부품용 소재 등 신수요 개발, 제품 다양화·해외시장 개척으로 신성장동력 확보할 것”
“80억 원 투자해 이천에 제2 생산라인 증설, 저가 수입재 맞서 품질 경쟁력 강화할 것”
태영건설 사태 등 부동산 부문 침체에 와이어로프 수요 부진, 하반기에나 경기 반등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