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有主靑山으로 거듭나야

포스코, 有主靑山으로 거듭나야

  • 철강
  • 승인 2017.05.24 06:50
  • 댓글 0
기자명 에스앤앰미디어 hyju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대기업 중 가장 투명한 선진형 기업 지배구조를 가진 회사를 꼽으라면 ‘포스코’라는데 별 의의가 없을 것이다.

  국내 최초로 1997년 사외이사 제도를 도입했다. 현재 사외이사가 7명, 사내이사가 5명으로 전체 이사회의 절반 이상을 사외이사가 차지하고 있다.

  사외이사의 기능과 역할 확대를 통해 독립적인 지배구조와 실질적인 사외이사의 경영 참여 및 감시 평가 기능을 적극 도입했다.

  이러한 포스코의 지배구조는 사실 우리나라 많은 재벌기업들과 달리 2000년 민영화 이후 오너가 없는 특수한 상황에서 투명한 지배구조를 만들고, 외압을 방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다.

  특히 2003년 이구택 전 회장이 당시 고려대 기업지배구조개선연구소장인 장하성 교수에게 요청해 마련한 포스코 지배구조 개선안이 그 주축이 돼왔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순차적으로 지배구조를 개선해 왔다. 2004년에는 아직도 대부분의 대기업 집단이 도입하지 않은 집중투표제를 전격 도입했다.

  2006년 주총에서는 장 교수의 지배구조 개선안 핵심 내용이었던 ‘회장과 이사회 의장 분리’ 도입이 결정됐다. 이후 포스코 이사회 의장은 사외이사 중 한 명이 맡고 있으며 이사회의 감시 기능이 획기적으로 개선됐다.

  특히 2007년에는 정권 입김에 따라 좌우되는 포스코 회장 선출 방식도 바꿨다.
이 역시 장 교수가 주도했다. 기존에는 사외이사 3명, 사내이사 1명으로 구성된 이사후보추천위원회에서 회장 후보를 추천하면 이사회에서 결정하는 방식이었다.

  이를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되는 ‘CEO후보추천위원회’에서 이뤄지도록 했다. 회장 선임 절차에 외부 입김을 완전 차단하자는 의도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포스코 회장과 임원들에 대한 외압은 차단되지 못했다. 이구택 회장과 정준양 회장 모두 정권이 바뀌자 중도에 그만두어야 했다.

  1차적으로 아무리 좋은 제도도 이를 운용하는 사람들이 올바로 서지 못한 탓이라고 볼 수 있다. 외압에 굴하지 않는 소신과 용기가 부족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궁극적으로는 그 외압을 행사한 정권과 정치권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어떤 방법으로든 정권의 입김과 압력은 기업에게는 독(毒)과 같은 일이다. 이를 차단하지 않으면 그 기업의 미래는 결코 긍정적일 수 없다. 

  철강금속업계에서는 새로운 정부에서 청와대 정책실장을 맡게 된 장하성 교수에게 거는 기대가 적지 않다. 포스코의 현 지배구조를 기초한 사람으로서 그 이상(理想)과 아이디어가 실현되도록 할 것이라는 기대다.

  지배구조 그대로 기준과 절차에 의해 투명하게 이사와 CEO가 선임되고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외압을 차단시켜 줄 것이라는 희망이다.

  지금까지 포스코에 대해 무주공산(無主空山)이라는 별칭이 유효했다. 앞으로는 이사회를 주축으로 유주청산(有主靑山)으로 거듭날 기회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