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래 소공인 집적지 활성화 사업의 ‘명과 암’

문래 소공인 집적지 활성화 사업의 ‘명과 암’

  • 뿌리산업
  • 승인 2017.07.24 08:59
  • 댓글 0
기자명 송철호 기자 chsong@snmnews.com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 정체성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질적 지원 절실

‘문래머시닝밸리’라고도 불리는 서울 문래동 1~4가 및 인근 지역은 뿌리기업을 비롯해 약 1,300여개 금속 가공 및 기계 제조 관련 소공인 업체가 밀집해 있는 국내 최대 수준의 소공인 집적지다.

제조업 경쟁력의 근간이 되는 뿌리기업들이 상당히 많이 몰려 있는 서울에 얼마 남지 않은 지역이기도 하다.

주조·금형·용접·표면처리·소성가공·열처리 등 뿌리산업은 안산과 인천 등의 서울 외곽 수도권 공단 지역에 주로 자리 잡는 상황이다 보니, 문래동은 서울에서도 역사가 깊은 소공인 집적지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순간 소외 받는 느낌이 강했었다.

최근 이런 문래 지역에 활성화의 바람이 강하게 불고 있다. 우선 공단 도심 재생 정책의 일환으로, 문래 소공인 집적지의 재개발 움직임이 활발하다. 또 하나는 예술인들이 문래 지역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 사업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문래 소공인 집적지에 불고 있는 이 두 가지 바람은 분명 이 지역 활성화에 어느 정도 일조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솔직히 많이 낙후된 문래 소공인 집적지는 향후 지속적인 환경 개선 사업을 통해 보다 쾌적하고 안전한 공단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서울시 주도로 전면적인 재개발을 시행하다 보니, 지금도 경기 불황 등으로 생존을 위한 투쟁을 계속 하고 있는 다수의 소공인들에게 상당한 경제적 압박이 가해질 수밖에 없다.

재개발을 시행하더라도 시급한 문제인 주차시설이나 소방 안전시설 등을 우선적으로 개선하고, 점차적으로 오랫동안 이 지역을 지키고 있는 소공인들과 소통을 통한 장기적인 관점의 환경 개선 사업을 추진해야 마땅하다.

아울러 예술인 문래 창작촌 등 문래동 활성화를 위한 예술인 지원 사업도 시작의 기원은 기존 소공인들에게도 신선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문래 정착 예술인들에게만 유독 서울시 지원 예산이 쏠리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그 자금 지원의 사용처가 정말 합당한 것인지에 대한 꾸준한 확인 절차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지원을 받고 문래동에 정착한 몇몇 예술인들이 술집이나 카페 등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다. 문래동의 좋은 위치에 서울시 지원까지 받고 정착했는데, 본연의 예술 활동과는 거리가 먼 사업이 운영되고 있다면 이건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다.

문래동뿐만 아니라 의외로 많은 지역이 환경 개선 사업과 활성화를 이유로 주객이 전도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지나친 활성화로 기존 소상공인들의 사업장 임대료가 급등하거나 본래의 지역 정체성을 잃어가는 경우도 허다하다.

문래 소공인 집적지는 우리나라와 서울시 제조업의 역사를 그대로 담고 있는 곳이다.

조금이라도 높은 곳에서 문래동 일대를 내려다보면 빽빽하게 몰려있는 소공인 집적지의 모습이 많이 비좁고 열악해 보이지만, 이곳이 없었으면 우리나라 제조업도 지금처럼 발달할 수 없었다는 생각에 그 낙후된 모습이 오히려 아름다워 보일 정도다.

이 지역을 지키고 제조업을 일으키고, 더 나아가 국가 발전에 일조해 왔던 소공인들의 피와 땀이 그대로 스며있는 곳이 문래 소공인 집적지라는 것, 그리고 특정 지역의 정체성을 함부로 훼손해서는 멀지 않은 미래에 분명 부작용이 발생한다는 것을 우리는 항상 명심해야 한다.

지금도 서울시를 비롯해 많은 지자체들이 지역 환경을 개선하고 침체된 지역의 상권 활성화를 꿈꾸지만, 제조업만큼 일자리 창출에 큰 도움이 되는 산업도 없다는 생각을 한다면, 막연히 제조업을 소외시켜서는 곤란하다는 것을 다시 한 번 인식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철강금속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